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System risk)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27일부터 10월6일 조사 결과 응답자의 30%가 금융시스템에서 가계부채가 가장 큰 위험요인이라고 지목했다.
이어 미국의 금리인상(14%), 취약업종에 대한 기업 구조조정(12%),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10%),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6%) 등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대상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주식, 채권, 외환 등) 참가자 66명과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12명이다.
금융전문가들이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요인을 복수(5개)로 응답한 결과에서도 가계부채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응답자의 70%가 가계부채를 꼽았다.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51%), 미국의 금리 인상(51%), 중국의 경기 둔화(48%)을 웃돌았다. 앞서 지난 4월 한은 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가계부채를 위험요인으로 꼽은 응답은 반년만에 16% 포인트 상승했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 국내외에서 가계부채에 대한 위험 경고등을 켜고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지난 9월 한국의 민간부채 위험도를 '주의' 단계로 평가한 바 있고, 지난 1일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민간부채 증가세가 가계부채 확대로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금융전문가들은 미국 금리인상을 단기 위험요인(1년 이내)으로, 가계부채 문제는 중기(1∼3년) 위험요인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1∼3년)에 걸쳐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높다'(44%)는 의견이 '낮다'(18%)보다 두 배이상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