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종가는 달러당 1125.0원으로 전 거래일 종가보다 11.3원 올랐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2.3원 상승한 1,126.0원에 거래가 시작됐다.
오전 한때 1128.5원까지 오른 뒤 오후 들어 1122.8원까지 떨어졌다가 1,120원대 후반을 회복했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것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주최 경제정책회의에서 "견고한 고용시장과 미국 경제전망 개선 측면에서 볼 때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올해 2차례의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발언도 내놨다. 이에 따라 이르면 9월 연준이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달러 강세는 시장 거래 전부터 예상되었다. 그동안 달러는 재닛 옐런 의장과 스탠리 피셔 부의장의 발언 하나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급등락하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이번 잭슨홀 연설에 대해 시장의 판단은 금리 인상에 무게를 실었다. 다만 9월과 12월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시도할지 아니면 한 차례에 머물지 관심이 쏠렸다.
한편 달러지수는 옐런 의장 발언 직후 약세를 보였다. 옐런 의장은 “최근 몇 달간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근거가 강화됐다”고 발언했으나 “금리 인상 결정 여부는 앞으로 발표될 경제지표에 달려 있다”고 덧붙여 예상보다 매파적이지 않다는 해석이 많다.
또한 “수개월 내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고 발언하며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점도 조기 금리인상 우려를 약화시켰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신흥국을 중심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달러화의 가치는 오를 공산이 크다. 이번 주에 발표되는 미국의 고용보고서와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동향에 따라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3시30분 현재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98.91원으로 전 거래일 오후 3시30분 기준가보다 10.08원 내렸다.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