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개책은 보이지 않는다. 타개책을 이끌어갈 수장 역시 없다. 지난 6일 퇴임한 최규연 前저축은행중앙회장의 후임자에 대한 하마평만 무성하다. 1년 6개월전 예보의 부실사태 청산 선언 이후 저축은행들은 겉모습만 화려해졌을 뿐 달라진 것이 없다.
◇ 5000만원 이상 초과 예금자, 3.4%에 불과… 정부 지원책도 효과 미미
저축은행을 바라보는 평판은 여전히 싸늘하다. 이는 5000만원 이상 초과 예금자 비중이 전체 수신액의 3.4%(2015년 3분기 기준)에 불과하다는 현실에서 잘 드러난다. 예금자 보호한도인 5000만원 이상 금액을 저축은행에 예치하는 사람이 100명 중 3~4명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작년 6월(3.38%)과 비교할 때 0.02%p 차이다.
‘고소영 사태’도 저축은행의 평판 회복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9월 JT·친애저축은행의 모델로 탤런트 고소영씨가 출연키로 했으나, 저축은행의 낮은 평판으로 인해 무산된바 있다. 여타 저축은행 대비 미디어 광고 등에 역량을 쏟은 친애저축은행은 日금융그룹인 J트러스트에 인수된 이후 매번 광고모델 선정에 난항을 겪는 등 부실사태 종료에도 불구하고 평판은 회복되지 않는 상황이다.
정부당국의 저축은행 지원책 또한 의미가 없다. 기획재정부는 내년에 저축은행들에게 외화대출, 지급보증, 외화차입 등을 허용하는 ‘외국환거래법 시행령 및 거래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다고 10일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들에게 외화대출 등은 사실상 의미가 없다”며 “점포수가 시중은행과 비교할 때 턱없이 부족하고 외환업무 전문 인력이 전무하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신용대출과 달리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관련 인력을 확충하기엔 어렵다”며 “사실상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작년 초에 저축은행들에게 허용된 할부금융과 마찬가지로 기재부의 이번 업무 확대는 저축은행에게 있어 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 차기 중앙회장 하마평만 무성… 중앙회, “결정된 것 없어”
이 가운데 저축은행들을 이끌어갈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의 하마평은 더욱 무성해지고 있다. 구체적인 모습이 아니라 후보자들만 더 다양해지는 모습이다. 10일에는 시중은행 출신 후보자들이 등장했다.
내정설에 거론된 인물은 이순우닫기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