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듀 2014 증권산업결산] 덩치줄이기 ‘올인’, 탈브로커리지 시험대](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41228220016135658fnimage_01.jpg&nmt=18)
◇ 강력한 구조조정, 희망퇴직 지점통폐합 병행
올해 증권업은 과도기로 요약된다. 증권업자체가 고성장에서 저성장으로 패러다임이 바뀌며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덩치줄이기에 나섰다. 대표적인 예가 강력한 구조조정이다. 삼성증권이 지난 4월 대대적인 구조조정방안을 발표하며 서막을 알렸다. 직무재배치형 인원조정이 중심인 1차 때보다 강도도 훨씬 셌다. 인력효율화, 점포체계 개편, 비용절감 추진 등 전방위적으로 단행했다. 이 가운데 인력 효율화의 경우 대상은 근속 3년차 이상으로 그 범위를 넓혔으며 희망퇴직 접수결과 전체 직원(2736명) 가운데 약 10%인 270여명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대투증권도 지난 2008년 하나증권과 대투증권 합병 이후 6년 만에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부부장 이상 3년 이상 근속자와 차장 이하 7년 이상 근속자로, 신청결과 부부장, 부장급 중심으로 전체 직원의 8%가량인 145명이 희망퇴직을 결정했다.
강소증권사로 호평받던 HMC투자증권도 본사 및 지점의 전직원이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으며, 지점도 현재 38개에서 15개 지점으로 통폐합했다. 현대증권도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하고 전사적인 비용절감 등 경영혁신 방안뿐아니라 약 400여명을 줄이는 전면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이처럼 업계 전반으로 구조조정이 확산되면서 증권사 임직원수는 지난해 4만1022명에서 3만7026명(9월 기준)으로 거의 4000여명이 줄었다. 사업방향의 경우 탈브로커리지에 집중했다. 특히 채권 쪽으로 활로를 모색하며 실적개선을 이끌었다. 올해 채권이 증권사를 먹여 살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 올초부터 ‘금리인하, 채권운용부문이익증가’라는 패턴이 되풀이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3분기(2014년 7~9월) 증권사의 순이익은 8145억원으로 전분기(2763억원) 대비 무려 +194.8%나 증가했다. 특히 채권관련자기매매는 1분기 1조2624억원, 2분기 1조5047억원, 3분기 1조9360억원으로 눈덩이처럼 늘고 있다.
이는 주요 채권운용의 주요 투자대상인 국고채금리가 추락했기 때문이다. 실제 증권사 주된 트레이딩대상인 국고채 3년물은 역사상 최저치로 떨어졌으며, 이례적으로 시장금리가 기준금리 아래로 떨어지는 ‘기준금리와 국고3년’ 금리의 역전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앞서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절감효과가 조금씩 반영되고 있다. 인원, 지점감축 등 공격적으로 구조조정효과로 3분기 비용절감 판매관리비는 1,837억원 감소(△9.4%)하기도 했다.
◇ 신NCR제도 전면시행시 증권업 재편임박, 증시 활성화 대책은 실효성 논란
밖으론 규제완화의 수혜가 집중됐다. 대표적 예가 신NCR제도의 도입이다. 투자여력을 넓히고, 증권업 M&A활성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규제완화의 백미로 꼽힌다. 주요 내용을 보면 NCR 산출체계를 개편하여 ‘순자본비율(신NCR)’ 산정 방식을 규정하고 변경된 산출구조에 상응하도록 적기시정조치 기준을 조정한 것이 핵심이다. 순자본비율을 (영업용순자본-총위험액) / 필요유지자기자본으로 바꿔 덩치가 클수록 투자여력이 풍부한 구조다. 신NCR이 전면시행될 경우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격차가 더 커질 것이 확실시된다. 덩치에 따라 산출비율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나대투증권에 따르면 신NCR비율을 적용할 경우 대형사는 현행 476%에서 1140%로 대폭 늘어나는 반면 중형사는 459%에서 318%로 소형사는 614%에서 181%로 급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덩치가 신NCR비율을 쥐락펴락하는 핵심변수가 되자 업계 수익성 1위 메리츠종금증권이 아이엠투자증권을 전격인수했다.
신NCR제도의 연착륙을 위해 오는 2015년까지 유예기간을 둔 상황이다. 중소형증권사들은 인수합병이나 증자 외에 덩치키우기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신탁업, 집합투자업 등 사업라이선스반납에 나설 수 있다.
연말 증시활성화대책도 꼽을 수 있다. 기관투자자 역할강화, 투자상품확대, 인프라제도효율화가 주요 내용인데, 발표 전부터 투자자들의 시선이 고정됐던 가격제한폭확대도 포함됐다. 내년 상반기중 코스피, 코스닥시장의 가격제한폭이 전일종가 대비 현행 ±15%에서 ±30% 수준으로 확대되며, 기초자산으로 현물시장과 직접 연계되는 개별 주식선물옵션도 그 확대비율만큼 상향조정됐다.
또 우정사업본부(예금)자금의 주식투자허용 한도를 기존 10%에서 20%로 상향하고, 은행 및 보험사의 주식투자확대도 제도적으로 뒤받쳐줬다. 하지만 업계가 절실히 원했던 공모펀드주식거래, 우정사업본부 차익거래 관련 비과세방안이나 증권거래세인하안이 제외되며 후폭풍은 제한적이다.
하나대투증권 한정태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기존 수익원에서 수익원을 대폭 변화하거나 제고할 수 있는 부분은 크지 않아 보인다”라며 “여전히 천수답구조로 시장이 아주 좋아지거나 자금이동이 자본시장으로 유입되는 국면이 아니라면 단기간에 수익원 변동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본시장연구원 박용린 금융산업실장은 “국내 증권산업의 수익감소와 수익성하락은 단기적 상황이 아니라 구조적 현상”이라며 “인구고령화, 저성장 저금리 기조라는 메가트랜드는 국내 증권사 사업모델과 증권산업 경쟁구도의 근본적 변화를 불러올 것이며, 기존 사업구조를 고수하는 증권사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