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연구원 김세중 연구위원은 “경험생명표(전체 생보사 경험통계자료를 기초로 작성)에 사용하는 과거 20년 평균 남성사망률 개선율이 실제 사망률 개선율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사망률 개선에 대한 예측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또한 과소평가할 리스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즉 그동안 생보사들이 사망률 개선을 충분히 예측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김 연구위원은 “베이비부머의 은퇴가속으로 인한 종신연금 수요확대와 핵가족화 역시 가족을 통한 장수리스크 분담 기능을 약화시키고 있다”며 생보사들의 장수리스크 대비를 강조했다.
실제 유럽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 역시 사망률의 빠른 개선과 생보사 및 연금사업자의 연금부채 증가에 따라 지급여력제도 상에 장수리스크를 별도로 반영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국제적 관심이 확대되는 추세다. 우리나라 역시 금융위원회가 고령화를 대비한 금융의 역할 강화 방안 중 하나로 장수채권 등을 통한 장수리스크 관리능력 제고를 주요 추진과제로 선정한바 있다.
해외에서는 장수리스크 관리방법으로 장수스왑, 장수채권과 같은 장수 파생상품을 이용해 리스크를 자본시장에 전가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는 이런 상품거래가 전무해 적절한 상품 포트폴리오 유지를 통해 대응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생보사들이 자체적으로 경제적 자본을 계산하거나 향후 도입될 수 있는 내부모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수리스크를 측정할 수 있는 확률적 사망률 모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다양한 시나리오 테스트나 스트레스 테스트를 적용해 적절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장수채권 도입 등 장수 파생상품에 대한 관심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망률 데이터의 미비점 개선과 생존확률 예측 방법, 가격산출 방법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그전까지는 자연헷지를 위한 적절한 상품 포트폴리오 유지를 통해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파생상품을 통해 장수리스크를 헷지하는 경우 요구자본 경감 등의 인센티브 제공방안과 장수 파생상품의 생존확률 측정 대상 집단과 보험사의 계약자 집단이 상이한데서 비롯되는 ‘베이시스 리스크’도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지적됐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장수리스크 관리방안 마련은 장수리스크 확대로 인한 보험료의 급격한 상승 또는 소극적인 상품개발로 종신연금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을 낮춰 궁극적으로 연금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미리내 기자 pannil@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