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신 위원장<사진>은 브리핑을 통해 먼저 국민 여러분의 소중한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고가 발생해 심려와 불편을 끼쳐드린데 대해 대단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이고 사과했다.
이번 카드사 개인정보유출사고 관련해 “보안절차만 준수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전형적인 인재였다”며 강력 제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고에 대해서는 엄정한 책임소재 규명을 통해 강력하게 제재조치를 빠른 시일내에 추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 위원장이 인재사고라고 지정한 것은 이번 고객정보 유출사건이 다른 사건과 크게 달랐기 때문이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직원이 USB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둔 것과 고객정보 암호화 등 안전성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이어 “이번 사안은 경각심 환기를 위해서라도 사고 책임자에 대한 형사처벌과 별도로 최고 한도의 행정제재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카드사에 대해서는 법령이 가능한 최고한도 수준의 제재를 2월 중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신 위원장은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무엇보다 사회적 혼란을 조속히 수습하고 국민의 불안감과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사례가 향후에는 절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점을 국민 앞에 엄숙히 약속드린다고 했다. 그는 금감원이 원본자료를 넘겨받아 확인한 결과, 카드사 고객뿐 아니라 은행 고객정보 및 탈회고객 정보도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유출정보에는 성명 등 개인정보와 함께 연소득과 같은 신용정보도 있으나 핵심 정보라고 할 수 있는 비밀번호와 본인 인증코드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 동안 상황점검과 대책 마련 등에 조기 대응노력을 했으나 유출 건수가 워낙 대량이고 전 고객에게 통지하는 과정에서 국민 불안감이 증폭됐다며 당초 유출됐던 개인정보가 전량 회수되어 시중에 유통되지 않았으므로 피해가능성은 전혀 없다는 점은 분명히 말씀을 드린다고 신 위원장은 강조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