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예금보험공사 및 캠코가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현재 예보는 440개 사업장, 10조9326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P/F채권을 보유했다. 대규모의 P/F채권이 예보와 캠코에 남아 있는 가운데 이들 채권의 대부분이 공사가 시작되지 못한 사업장의 채권이다.
김기식닫기

예보가 보유한 저축은행 P/F채권들의 회수율에 의구심 속에서 또 다른 채권 보유기관인 캠코의 관련 채권회수율은 월등히 상승해 주목된다. 캠코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160개 사업장, 1조9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가지고 있다.
지난 2008년부터 현재까지 약 7조4000억원을 인수해 5조5000억원을 정리한 상황으로 채권회수율은 56.8%에 이른다. 장영철 캠코 사장은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은 정상화 및 매각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오는 2014년 구조조정기금 운용 종료시까지 남아있는 잔여채권은 환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 P/F채권 관련 예보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예보가 보유한 채권 중 4조7251억원 규모가 캠코가 매입했다가 환매한 채권이어서다. 캠코 입장에서 정리한 관련 채권이 예보에게 고스란히 떠 넘어간 것에 불과한 상황인 것. 김기식 의원은 “2008년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부실을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연착률’이라는 이름으로 분식회계를 조정해 피해를 키웠다”며 “이제는 부실P/F사업장으로 발생하는 부담을 예보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