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은행권 자발적인 행동이 아니라 금융당국의 고액연봉 개선방침에 따른 연쇄반응이라고 지적하는 이들도 있다. 이런 가운데 내달 13일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을 위한 4차 교섭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은행계 금융지주 잇달아 임원 급여 줄이기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임원진들의 자발적 급여 반납 사실을 알린 하나금융지주에 이어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등도 임원들의 급여를 조정하는 방안 논의에 들어갔다. 하나금융지주는 김정태닫기


신한금융지주도 연봉체계를 조정해 급여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한금융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지난 2011년 한동우 회장 취임 직후부터 계속 연봉체계를 개선해 왔으며 올 초에는 장·단기성과급을 연간 실적 목표와 과거 5년간 성과까지 감안해 추가로 조정되도록 연봉체계를 손질했다. 나아가 현재는 최근 금융환경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봉과 장단기 성과급을 포함한 다양한 연봉체계 변경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한금융 한 관계자는 “일시적인 급여반납이 아닌 연봉체계를 조정해 급여를 낮추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며 “종전보다 더욱 성과에 연동되는 방식으로 세부 내용이 확정 되는대로 이사회에 보고하고 하반기 중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KB금융지주도 비용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임원 급여 조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우리금융은 올 초 일찌감치 은행 본점 임원들의 업무추진비를 삭감했다. 일각에서는 금융지주사들의 이러한 움직임이 은행권 임단협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임금협상 타결 불투명 왜?
특히 올해 임단협 협상안 가운데서도 정규직 기준 8.1% 임금인상 협상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지금까지 세 차례에 걸친 임단협 협상 과정에서 시장 여건이 좋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8.1%의 임금인상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측과 8.1%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노조가 팽팽한 대립각을 세우며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
A대형은행 한 관계자는 “경기 침체 등으로 최근 은행권 실적이 크게 부진하자 수익기반 확충 차원에서 임원진들이 급여를 반납하거나 연봉체계를 손질해 급여를 낮추겠다고 밝힌 만큼 8.1%의 임금인상 협상은 현실적으로 깨질 우려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사측이 1.8%의 임금인상안을 제시한 걸로 아는데 지금까지 별 다른 소식이 없는 것을 보니 사측과 노조가 세 차례 진행된 임단협 과정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마무리된 것으로 보여진다”며 “서로간의 입장 차가 커서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 불투명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금융노조 한 관계자는 “금융지주 임원들이 연봉 줄이기에 나선만큼 8.1% 임금인상 협상 타결이 쉽지 않을 것 같다”면서도 “내달 13일에 열리는 4차 임금단체협상에서 사측과의 의견차를 좁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나영 기자 ln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