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금융협회가 최근 발표한 신용카드 승인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국내 카드승인실적이 2010년 보다 17,8% 증가한 458조8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소비자 물가 및 GDP상승으로 인한 명목사용액 증가와 취업자 증가로 인한 소비여력 확충 및 신용카드 사용처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소비자 물가 및 GDP상승으로 인한 명목 사용액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2011년 소비자 물가상승은 전년대비 4.0%가 상승했으며 GDP는 3.4% 증가했다. 아울러, 2009년부터 꾸준히 늘고 있는 민간 소비지출 대비 신용카드 사용비중이 확대로 카드 승인실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1년 1월 208만개 정도였던 신용카드 가맹점수가 올해 1월을 기준으로 222만개를 넘은 것도 승인실적이 늘어난 이유로 꼽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업계 전문가들은 각종 세금을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음에 따라 국민들이 신용카드를 많이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있다. 최근 3년간 국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했던 실적을 보면 2009년에는 2246억원, 2010년에는 8452억원이었으며, 2011년에는 1조2960원으로 실적이 가파르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정부 지원금을 수혜자에게 현금 등으로 직접 지급하는 방식에서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기능을 가진 바우처(Voucher) 카드로 발급해 정부가 결제대금 일부를 보조하는 방식의 바우처 카드(유류보조금카드, 아이사랑카드, 임산부지원카드 등)의 발급이 증가한 것도 승인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사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현금서비스, 카드론, 기업구매카드 실적 등을 제외한 순수 국내 신용판매 승인실적만을 살펴봤을 때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인한 실물경기 침체로 이듬해 카드사용액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던 것을 제외하면 2011년 카드 승인실적 증가율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올해 카드 승인실적 전망은 전년에 비해 큰 폭으로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확대가 카드실적 증가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수는 있겠으나, 일련의 신용카드 사용 억제 정책 등으로 인해 큰 폭의 카드실적 증가는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