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환매가 본격화 된 지난 2009년 4월을 기점으로 2조원 넘게 월평균 신규 자금이 유입된데다, 올 들어 4개월 연속(2011년 5월~8월말 기준)자금이 유입된 것도 처음이라 결실의 계절을 맞이했다는 평가다. 뭉칫돈이 유입된 기간에 1000억원 넘게 신규자금이 유입된 펀드들을 살펴본 결과, 각 운용사의 대표주식형 펀드들로 자금 이동이 뚜렷했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8월 한 달간 1000억원 이상 유입된 펀드들로는 ‘교보악사파워인덱스파생투자신탁’(2096억원), ‘삼성당신을위한코리아대표그룹주펀드1’(1657억원), ‘KB코리아스타증권투자신탁’(1514억원), ‘NH-CA1.5배레버리지인덱스증권투자신탁’(1156억원) 등이 손 꼽힌다.(기준일:2011.8.31)
이 가운데 상승장엔 일일 수익률의 1.5배 수익률을 추종하는 레버리지 유형 펀드에 돈이 들어왔다는 데에 눈길이 쏠린다. 통상 레버리지유형은 하락장때 마찬가지로 1.5배 더 빠지는 고위험성 상품이다. 펀드전문가들 역시 저평가 매수 효과를 노린 대표주식형 펀드와 레버리지 펀드로 자금이 유입되는 다변화 된 자금유입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현대증권 펀드리서치 배성진 연구원은 “대표주식형 펀드로의 자금 유입은 그동안 항상 강조하던 적립식의 저평가 매수 극대화에서 주목할 만 하다”며 “또한 장이 빠지면 그만큼 손해를 감내하는 레버리지 펀드에 돈이 몰린 것은, 결국 상승시 화끈한 성과를 보려는 단기투자용 자금 성격도 공존중인 것 같다”고 평가했다.
김경아 기자 ka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