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연말 신설 된 채권본부는 전사 채권 운용 및 Sales 기능을 통합하고 소매 채권시장을 강화하기 위해 Retail채권판매 기능도 통합시킨 형태다. 신설된 채권본부에는 기존 다른 본부에 있던 채권영업팀과 채권금융팀, 종합금융팀, 및 FICC팀을 두었고, 리테일채권팀도 신설했다.
FICC팀은 상품개발과 운용을 맡고, 종합금융팀과 채권영업팀은 장단기시장에서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CP 및 채권을 세일즈한다. 그리고 리테일채권팀은 일반 지점고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상품 및 소매채권을 판매하게 된다. 채권본부 사령탑은 전 기업금융본부장이던 박영완 상무가 맡았는데, 박 상무는 오랫동안 회사채 발행시장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박 상무는 “지난해에는 회사채 인수부문에서 업계 1위 기록을 달성했지만, 금년에는 특수채나 여전채, 및 CP 등 다양한 시장에서 업계 1위의 기록을 만드는 한편, 리테일 채권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아 리테일 채권시장의 강자로 도약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먼서 “또한 기업금융 분야에서 고객별 원스탑 서비스와 단순회사채에서 벗어난 고객 중심 파이낸싱 기법을 강화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SK증권 채권본부는 ‘고객의 신뢰’을 최우선으로 고객에게 차별화된 Solution을 제공해 고객의 니즈와 네크워크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채권기능의 통합을 통해 타사보다 폭넓은 정보와 빠른 의사결정으로 경쟁력 있는 상품을 발굴해 고객을 확보하고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인 셈. 앞서 SK증권 이현승 대표는 올 신년사를 통해 기존사업의 체질을 개선해 사업구조 변화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기존사업 체질 개선의 핵심은 기본적으로 ‘고객과 함께하는 것’으로 고객이 원하는 것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어떻게 하면 고객에 보다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SK증권은 리테일 Biz.의 혁신을 위해On-line Brokerage와 AM Biz.를 강화하였고, 온라인사업본부를 중심으로 공격적 마케팅을 전개할 예정이다.
SK증권측은 “이 밖에 시장을 선도하는 Hit상품개발을 위해 자문형 Wrap과 신종증권 Line-up을 강화하고, 전사 채권기능을 통합해 경쟁력 있는 금리상품을 공급할 것”이라며 “이번 채권본부의 신설도 이러한 맥락과 상통한다”고 덧붙였다.
김경아 기자 ka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