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감독당국과 저축은행업계가 조율과정을 거쳐 매각 규모를 확정했으며 매각가는 2조5000억원에서 2조6000억원대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계열 저축은행을 가진 7개 저축은행들은 평균적으로 4000억원대에서 부실부동산PF를 매각할 것으로 보인다”며 “감독당국과도 이같은 수준에서 총 2조5000억원대에서 조율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부실 부동산PF 채권을 매각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25일 공적자금위원회에서 최종 결정을 한다. 이에 따라 내주 초에 저축은행과 캠코간에 채권양수도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매각방식은 비상장사의 경우 사후정산 방식과 유동화 방식이 7대 3 비중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상장사의 경우 IFRS 도입에 따라 유동화 방식으로 캠코에 넘길 전망이다.
한편, 사후정산의 경우 고정이하로 분류된 부동산PF 물건은 기존 가격을 보전 해주는 장부가의 70% 선에서, 정상 및 요주의이지만 악화사업우려사업장은 80%선에서 캠코에서 인수한다는 방침이다. 유동화방식의 경우 외부기관을 통해 시장가격으로 채권 재평가를 하고 SPC(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해 캠코가 선순위로 손해를 보지 않는 비용을 내게하고 나머지 금액은 저축은행에서 내도록했다. 사후정산방식은 이익이 발생할 경우 캠코가 가져가고 손실이 발생할 경우 저축은행이 충당금을 쌓도록 했다. 유동화방식의 경우 이익이 발생하면 일정부문 저축은행이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초기에 쌓아야 하는 충당금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단점도 있다.
B저축은행 관계자는 “강도 높게 부실을 정리하면서 이번 6월 결산은 적자가 이어질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