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연이어 중소형저축은행이 부실로 영업정지를 맞으며 부동산PF대출에 대한 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자 저축은행중앙회가 진화에 나섰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저축은행의 영업정지는 영업환경이 열악한 소형저축은행에 국한돼 일어나고 있는 것이며 이것 또한 부동산 PF대출과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최근 일부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정지는 지역경제 침체에 따른 중소기업 대출채권의 부실 등에 기인했으며 최근 일부 언론에서 제기한 PF대출 부실과는 무관하다”며 “특히, 소형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PF대출을 운용할 규모가 되지 않아 이같은 원인과는 더욱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해명자료를 통해 저축은행은 IMF위기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지역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중이며, 전반적인 경영지표도 개선추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저축은행 PF대출 부실화 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07년 12월말 현재 저축은행의 PF대출은 12.1조원 수준으로 전체 대출 중 차지하는 비중이 25.6%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
중앙회 관계자는 “지방 중심의 미분양 아파트 증가와 최근 건설사 부도 여파로 연체율이 11.6%로 2006년 6월말 11.4% 대비 다소 증가했지만 총대출 연체율인 14.7%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 유지하고 있어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한 저축은행은 그동안 감독당국의 리스크관리 강화조치와 정부의 부동산 투기억제 조치 등으로 최근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에 집계된 지난해 6월 부동산PF대출 연체율이 12% 중반대에서 12월말 12% 초반대로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기도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6월 대비 12월말 기준으로 부동산PF대출 관련 연체율이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또한 감독당국의 선제적 감독강화조치에 따라 지난해 12월말 Coverage Ratio(고정이하 여신이 부실화되도 처리할 수 있는 능력)가 106.8% 수준으로 2006년 12월말 대비 17.3%p 증가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이 지속적으로 확충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저축은행 부실화 우려 불식을 위한 안정성 확보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은 배당을 하지 않고 당기순이익의 대부분을 자본으로 전입해 자본을 확충하고 있고, 담보가치 하락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해 부실화 우려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또한 새로운 수익원 확보와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전 업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