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는 지난 2일 재경부가 주최한 금융 공기업 경영혁신협의회에서 경영혁신방안으로 신용정보회사에 부실채권 회수를 위탁할 경우 연체기간과 채권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차등 수수료율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사업비를 초과해 부실채권을 매입할 경우 경영관리위원회에 보고 하기로 했다. 또 본점과 지사의 단위사업을 본부로 통합하고 부실채권(NPL), 조세정리, 국유재산관리 등 3개 사업본부로 재편할 방침이다.
이같은 내용이 나오게 된 배경은 지난달 감사원 감사에서 한국은행 등 금융 공기업들의 청원경찰과 운전사 연봉이 1억대로 알려지면서 방만한 경영이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한국은행, 수출입은행, 한국산업은행, 캠코 등 금융 공기업들이 경영혁신방안을 내놓은 것.
신용정보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금융 채권 시장은 줄어들고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어 어려운 상황에서 채권 수수료도 차등 적용되고 매입되는 채권의 양도 줄어든다면 더욱 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캠코는 이뿐만 아니라 체질개선을 위해 신용관리부 업무를 웹방식으로 전산처리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중이고 해외사업과 국유재산 개발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신규 인력은 조직혁신 실행방안과 영업실적 등을 검토해 최소한의 인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캠코는 또 자체적으로 수립한 ‘혁신비전 및 전략’과 ‘캠코 경영혁신방안’을 토대로 올해 말부터 조직개편과 전략적 사업계획 수립 등 경영 혁신을 강도 높게 추진할 방침이다.
캠코 관계자는 “채권물량 등 업무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인력 및 제반 사항을 줄이고 있다”며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조직 및 사업을 전략적으로 맞춰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