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부실 채권 정리 등으로 조정 자기자본 비율은 올라가 자산의 건전성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9개 전업 신용카드사는 상반기에 3조211억원의 당기 순손실을 내 1조1천8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던 지난해 동기에 비해 경영 실적이 상당히 악화됐다.
전업 카드사들은 올 1.4분기에 1조3천99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2.4분기에도 1조7천112억원의 적자를 면치 못해 적자 구조가 장기화되고 있다.
금감원은 대손충당금 적립 때문에 카드사들의 실적이 악화됐다고 설명하고 카드사들이 경비 절감, 수수료 인상 등 영업 환경 개선을 추진하고 있어 4.4분기부터는 월간 또는 분기별로 흑자 반전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카드사별로는 BC만 67억원의 흑자를 거뒀을 뿐 나머지 회사는 모두 적자를 면치 못한 가운데 적자 폭은 LG가 7천469억원으로 가장 많고 삼성(6천429억원), 현대(5천457억원), 국민(4천876억원), 외환(2천773억원), 우리(1천840억원), 신한(737억원), 롯데(699억원)의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전업 카드업계의 대손충당금 적립 전 당기순이익은 3조4천541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5%가 증가했다.
이들 카드사의 조정 자기자본 비율은 지난 6월 말 현재 12.0%로 3월 말에 비해 1.8% 포인트가 올라갔고 카드사별로도 국민(7.3%)을 제외한 나머지 회사가 모두 경영 지도 비율인 8%를 넘었다.
금감원은 6월 말 기준 조정 자기자본 비율이 8% 미만인 회사에 대해서는 적기시정 조치를 내릴 계획이지만 국민은 현재 진행 중인 국민은행과의 합병이 조만간 마무리될 것으로 보여 조치를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 6월 말 현재 총채권에 대한 카드사들의 연체율은 9.0%로 3월 말보다 0.5% 포인트가 줄었고 모든 카드사가 경영 지도 비율인 10% 미만을 유지해 조정 자기자본 비율과 연체율로 적기 시정 조치를 받는 카드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말 현재 연체금을 장기 대출로 바꿔 주는 대환대출 규모는 13조5천962억원으로 3월 말에 비해 27.8%가 늘어 대환대출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부실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됐다.
상반기의 카드 사용액은 282조1천32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2.9%가 줄어 지난해 4.4분기를 정점으로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편 올 6월 말 현재 카드 누적 발급 수(법인 제외)는 9천905만장으로 3개월 전보다 3.3%(340만장)가 감소했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