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은 카드채 만기 연장이라는 대세는 따르겠지만 구체적인 조건에 대해서는 개별 카드사와의 협상을 통해 실속을 차리겠다는 방침이다.
2일 은행 및 카드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을 제외한 우리, 한미, 신한, 조흥, 외환은행 등은 카드채 만기 연장에 대해 뜻을 같이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다.
우리은행은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기본적인 입장만을 밝히고 있으며 신한, 조흥, 외환은행 등은“50% 이상 연장하겠다”는 반응이다.
오는 12월말까지 만기돼 돌아오는 카드채 규모는 총 21조7624억원.
이중 은행권이 보유하고 있는 카드채는 6조7420억원이며 여신협회는 이중 58%에 달하는 3조8618억원을 연장해 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시중 은행들은 카드채의 일괄적인 만기연장이 불가능하며 각 카드사와의 개별 협상을 통해 은행이 부담하는 리스크가 클 경우 금리를 인상할 계획이다.
특히 한미은행의 경우 신탁계정 보유분에 대해서는 고객들과 협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상환을 요구할 시 만기연장 규모는 축소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신한, 하나, 조흥, 외환은행 등은 카드채 별로 연장 여부와 조건 등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며 특히 개별 회사별로 리스크를 반영해 가산금리를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금융감독원 노태식 국장은 “일부 은행의 합의가 지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들 은행이 보유한 채권의 규모가 적고, 또한 신탁부분의 경우 권유 및 창구매출 등을 통해 소화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원칙적으로 일괄 연장은 못하더라도 50% 이상 연장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여신협회 이보우 상무는 “결국은 금리싸움”이라며 “고객 동의 부분에 있어서는 투신권이 더 큰 고민을 안고 있는 것으로 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은행권에서 보유하고 있는 만기가 도래하는 6조원 규모의 카드채 중 1%만 금리를 더 받는다고 가정해도 600억원이기 때문에 각 카드사와의 접촉에서 리스크를 감안해 은행들과 카드사간의 금리싸움이 예상된다”라고 덧붙였다.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