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9일 열리는 신용카드학회 주최 학술세미나에서‘카드채의 현황 및 향후 대응방안’이란 주제로 발표할 예정인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과 신제윤 과장은 이 같이 주장했다.
신 과장은 주제발표 자료를 통해“정부가 카드채 문제에 개입한 것과 관련해 관치론이 제기되고 있으나 미국 LTCM사가 파생상품 거래에 따른 대규모 손실로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되자 연방은행의 유동성 공급 지원을 통해 시장불안을 해소한 바 있다”며“정부가 불가피하게 시장에 개입하게 됐다”고 정부의 시장개입 당위성을 주장했다.
또한 일부에서는 프라이머리 CBO발행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는 위기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이며 카드사 대주주가 우량한 만큼, P-CBO는 이들을 불합리하게 지원해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브리지론에 대해서도 투신권이 보유한 카드채 중 4∼6월 만기도래분만을 매입대상으로 하고 해당 카드채 만기 도래시 카드사가 은행에 상환할 예정이기 때문에 타 금융권 손실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분석했다.
신 과장은 또 연체율 증가 억제, 자구노력을 통한 경영 합리화로 카드사의 영업수지가 크게 개선돼 하반기 중에서는 흑자전환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