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국민카드 조봉환 사장이 비효율적 영업구조를 효율적인 영업구조로 전환, 전임직원이 환골탈태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노조는 이에 대해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거부한다고 강력 반발했다.
노조가 주총 당일 임원실을 점거한 가장 큰 현안도 내부 인력 구조조정 때문.
국민카드 노조는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기 이전에는 당분간 사장의 협상제의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주총에 대해 “주총 개최를 전면 막을 생각은 없었다”며 “주총 시작 전 사장과의 협의에서 실마리가 풀리지 않아 주총이 끝난 후에 재협상을 할 것을 논의했으며 노조는 현재로서는 진전된 답이 나올 것이 없다고 보고 당장 응하지는 않을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민카드의 정규직 인원은 1450명. 계약직 인원도 2000명에 이른다.
국민카드 노조원들은 지난 27일에도 350명의 본점 직원들이 모두 참석할 만큼, 구조조정에 대해 민감하지만 사측에서는 아직 확정된 사항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국민은행 측에서도 통합 및 이후 구조조정에 대해 아직까지 확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은행 관계자는 “정규직 인원의 경우 쉽사리 구조조정을 하기가 어렵고 만약 구조조정을 하더라도 거기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할 것”이라며 “정규직 인원을 전부 은행으로 흡수한다 하더라도 자연적으로 행내에서 발생하는 정리 인원수를 감안하면서 일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연내에는 이 작업이 어느 쪽으로든 마무리 될 것이며 4월 중순에 컨설팅도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덧붙였다.
국민카드 노조 관계자는 “국민카드 시스템의 우월함은 국민카드, 국민비씨 중복소지자의 연체를 국민카드에서 회수하도록 추진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며 “국민카드와 국민비씨카드 중복소지자 중 연체비율이 80%에 이른다”라고 밝혔다.
또 그는 “국민은행에서 다음달 정기 이사회까지는 증자 결정을 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증자결정이후에는 흡수합병인지 독자생존인지가 더욱 뚜렷해 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주총에서 조 부행장이 밝힌 ‘작은 쪽이 큰 쪽으로’의 통합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조 사장은 “비용 절감을 위해 작은 쪽이 큰 쪽으로 붙고, 시너지 효과가 제고될 수 있도록 우월한 시스템을 택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큰 쪽은 은행이 아니냐는 해석이 일고 있다.
국민카드 노조 관계자는 “시스템은 국민카드가, 규모는 은행이 크다”라며 발언이 모호하다고 지적했다.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