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증권 및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자산운용사들이 증권사들의 반발로 직판 등록을 하지 못하고 있어 제도 도입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아직 직판 허용과 관련한 구체적인 형태는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지만 자산운용사들은 지점 형태보다는 사이버상에서 직판을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직판이 이루어지면 증권사들은 기존 펀드 판매 수수료가 없어져 법인부의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은 판매사로서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자산운용사들의 직판 등록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증권사의 수익증권 판매고의 약 60%를 차지했던 법인부의 타격이 예상됨에 따라 법인부 직원들은 향후 직판이 대세라는 사실을 인식, 이번 기회에 운용사로 전직하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문제는 이같은 증권사들의 반발뿐 아니라 당사자인 자산운용사들도 직판 도입을 꺼리고 있어 제도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놓이고 있다는 점이다. 우선 사이버상으로 직판을 한다 해도 직판 도입에 따른 고정 비용이 연간 3억~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이에 대한 손익분기점을 맞출 수 있을지 자신없어 하는 분위기다.
특히 이 고정비용은 사이버상으로 고객들의 계좌개설이나 매매거래등을 위해 증권전산 시스템을 빌려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임대료만 3억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간다는 계산이다. 이같은 상황을 인식한 자산운용사들은 확실한 수익원 창출이 불투명한 가운데 섣불리 직판을 도입할 경우 비용만 낭비될 우려가 있어 자체적으로도 직판 도입을 꺼려 하는 분위기이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는 고정 비용을 최대한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증권사들의 눈치를 보느라 속앓이를 하고 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