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법인의 채권은 모두 상환해주고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종금사의 채권은 일부만 상환해 이들 종금사들이 사적화의에 반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리스업계에 따르면 리스사들은 그동안 사적화의를 진행할 경우 문제의 소지가 있는 종금사의 채권을 모두 상환하고 시작하는 것이 관례였다.
종금사들의 경우 사적화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사적화의를 순조롭게 진행하기위해서는 무엇보다 종금사들의 채권에 대해 우선 상환하는 것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실제로 한미캐피탈의 경우도 사적화의를 시작하면서 종금사의 채권은 모두 상환한바 있다.
그러나 조흥리스는 한국종금 1백30억원, 한불종금 59억원, LG종금 38억원, 한길종금 75억원, 새한종금 14억원등을 모두 상환한데 반해 영남종금, 금호종금, 한아름종금은 일부만 상환, 이들 종금사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 사적화의가 순조롭게 진행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이들 종금사들은 한길종금과 새한종금등 파산법인의 채권은 상환하면서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는 종금사의 채권을 일부만 상환한데 대해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채권을 상환할 순서로 따진다면 당연히 정상적인 영업을 하고 있는 종금사가 우선순위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이들 종금사들은 조흥리스의 사적화의에 제동을 걸겠다는 강경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조흥리스의 사적화의는 시작단계부터 어려움이 불가피하게 됐다.
박정룡 기자 jrpar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