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기후변화와 안전한 도시건설' 세미나에 참석한 안형준 한국초고층도시건축학회 연구원장(왼쪽 첫번째)와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왼쪽 두번째)./사진=왕호준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안형준 원장은 이날 ▲집중호우 ▲태풍 ▲폭설 ▲산불 ▲지진 등 5대 재난을 중심으로 각각의 개념과 피해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안 원장은 지난 7월 오산 옹벽 붕괴 사고를 언급하며 "집중호우로 생긴 물을 흙이 다 저장하지 못해 발생한 안타까운 사고"라고 설명했다. 또 "강남은 2015년 상습 침수지역으로 선정됐고 도림천 주변 영등포구와 동작구에 이어 관악구도 침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집중호우 대응책으로 안 원장은 "대규모 차수 시설 확충과 소규모 분산형 대책의 적용이 필요하다"며 "대형 건물들에 자발적으로 빗물 저장 탱크를 만들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태풍으로 화제를 옮긴 안 원장은 "태풍으로 인해 연평균 57명의 사망자가 발생한다"며 "우리나라는 태풍에 대비하기 위해 건물에 내풍 설계를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내풍 설계는 건물의 통합 저항 능력을 높이고 주변 환경의 바람 영향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둬 구조적 안전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태풍 대응책으로 그는 "풍동 실험을 통해 건물을 짓기 전 바람의 영향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배치와 방수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원장은 폭설 문제에 대해서도 발표했다. "폭설로 인해 많은 농업시설이 파괴된다. 눈이 많이 쌓이면 우리가 상상도 하지 못하는 무게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폭설에 대비한 건축 설계는 기존 건축 구조의 기준을 강화하고 설하중이 제대로 반영이 안 된 상황을 바꾸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폭설 대비 건축 설계는 단순히 건물을 튼튼하게 해주는 것을 넘어서 기후 변화에 예측 불가능한 폭설의 위험성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평가다. 이같은 대응책으로 안 원장은 "건축 구조 기준을 현실에 맞게 개선하고 특히 취약한 구조와 시설물에 대한 설계를 강화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산불로 논의를 옮긴 안 원장은 "사고를 예측하고 그것을 대비할 인원과 자원이 확보돼야 하는 게 중요한 문제인데 우리 사회는 아직 그럴 준비가 안 돼 있다"며 "건축법 내용 중에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들이 있지만 산림법에는 그런 것이 없다"며 "건축법에서 시행되는 방화 구역처럼 산림을 관리한다면 대형 산불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마지막으로 안형준 원장은 지진에 대해 언급했다. 우리나라는 지진이 일어나도 원래 진원지를 못 찾고 사례도 빈번하기 때문이다. 그는 "지진에 대비한 설계는 내진 설계뿐 아니라 제진 설계도 있는데 이는 건물에 작용하는 지진력을 제어해 주는 것"이라며 "이보다 더 강력한 면진설계는 아예 지진파가 건물에 도달하지 않게 한다"고 촉구하며 발표를 마무리했다.
행사를 주최한 김용태 의원은 "기후변화 의제가 보수 정당의 약점이라는 건 잘못된 프레임"이라며 "녹색성장과 같이 기후변화 이슈를 다루는 것은 MB정부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앞으로 보수정당이 CCUS(탄소포집기술) 같은 친환경 기술들을 기반으로 실용적인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왕호준 한국금융신문 기자 hjw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