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수도권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약 2915만원으로 전월 대비 0.27%, 전년동월 대비 6.1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약 4684만원으로 전월 대비 3.09%, 작년 같은 달보다는 8.64% 치솟았다. 경기도는 8월 약 2241만원으로 전월 대비 0.66%, 작년 동월 보다는 5.31% 상승해 오름세를 이어갔다.
분양가 상승세는 건축비·토지비인상과 맞물려 수요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6.27대책을 통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강화하고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면서 대출 가능 금액까지 줄어들자 자기자본 부담은 더욱 커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분상제 단지는 주변 시세 대비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돼 대출 부담 완화와 시세차익 기대감을 동시에 안겨주고 있다. 실제 올 상반기 청약시장에서도 분상제 단지의 흥행은 두드러졌다.
2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 상반기 청약통장이 많이 몰렸던 평균 청약 경쟁률 상위 ‘톱 10’을 조사한 결과, 경쟁률 높았던 상위 10곳 중 8곳이 분상제 적용 단지였다. 서울 ‘래미안 원페를라’ 151.6대 1가 1위를 기록했고 충북 ‘청주테크노폴리스 아테라 2차’가 1순위 평균 109.6대 1로 2위를 차지했다. 경기도에서는 ‘동탄포레파크 자연앤푸르지오’와 ‘동탄꿈의숲자연&데시앙’이 각각 68.6대 1, 37.8대 1을 기록했다.
안전마진을 중시하는 분위기는 올 하반기까지 한동안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만큼 부동산 경기를 예측하기 어려운 탓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자금마련 부담이 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분양가 부담이 적고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는 분상제 단지로 청약수요가 집중되고 있다”며 “결국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에서 내 집 마련과 자산 증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선택지로 분상제 단지를 꼽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가운데 공급이 예정된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에 수요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10월 분양 예정인 ‘김포풍무 호반써밋’이 꼽힌다. 김포 풍무역세권 B5블록에 들어서며 전용면적 84∙112∙186P㎡, 총 956가구 규모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풍무역세권에서도 김포풍무 호반써밋이 들어서는 곳은 핵심 시설이 몰려있고 타 분양 단지들은 대로를 건너야 해 사실상 김포풍무 호반써밋이 위치한 곳이 메인입지”라며 “풍무역세권 첫 분양 인데다 가장 우수한 입지에 들어서는 만큼 대기 수요가 많아 청약 경쟁률이 치열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권에서도 분상제 적용 단지가 나온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신동아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아크로드 서초’와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21차 재건축 단지인 ‘오티에르 반포’다. 아크로드서초는 총 1161가구 중 56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나오고 오티에르 반포는 총 2400여 가구 중 약 200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수도권 공공택지에서도 상한제 적용 단지가 속속 공급된다. 구리 갈매역세권 A1블록 신혼희망타운(461가구), 남양주 왕숙지구 A1·B2블록(각 139가구·193가구 일반분양) 등이 하반기 분양을 준비 중이다. 신도시 내 교통망 확충과 생활 인프라 개발 기대감에 더해 합리적인 분양가 책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왕호준 한국금융신문 기자 hjw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