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인균 은행연합회 디지털·ESG그룹 본부장(왼쪽)과 정해민 은행연합회 지속가능경영부장(오른쪽)이 30일 2022년 은행 사회공헌활동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은행연합회
이미지 확대보기은행연합회(회장 김광수닫기

지난 2006년 첫 실적 집계 당시 3514억원이던 사회공헌 규모는 2019년 이후 연간 1조원 이상을 유지하며 성장추세를 지속 중이다. 또한 기부·자선 위주의 활동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활동 전반으로 외연을 확장해 양적·질적 성장을 함께 도모하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 매년 1조원 이상 규모 사회공헌활동 지원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누적 사회공헌활동 금액은 총 3조3926억원이다.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중은 6.5%로 2019년 9.2%에서 2020년 8.6%, 2021년 6.9% 등을 기록해 사회공헌활동 지원금은 전년보다 16% 증가했으나 당기순이익 대비 비중은 줄었다.
은행연합회는 “향후 은행권은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진정성 있고 특색 있는 사회공헌 사업을 매년 1조원 이상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며 “특히 은행 공동으로 올해부터 3년간 5800억 규모의 자금을 출연해 ‘은행 사회적 책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은행의 휴면예금 출연을 사회공헌활동에 포함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은행이 자발적으로 휴면예금을 서민금융진흥원에 출연해 공익 목적 사업의 재원으로 활용되는 점에서 사회공헌 활동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휴면예금 출연은 법적 의무사항에 해당하지 않고 출연 여부는 금융회사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에 의해 정해진다”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국내은행들은 별도의 출연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근거로 소멸시효가 완성된 휴면예금 등을 출연하고 있다”며 “서민금융진흥원과 협업해 매년 휴면예금 환급 고객 대상 이벤트 등을 통해 휴면예금 반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출연 규모는 3320억원이며 출연금은 미소금융사업을 통해 전통시장 상인 등 영세자영업자에 대한 대출 지원 등에 활용되고 있다.
기존 6대 활동분야를 총 24개의 세부항목으로 분류해 각 항목에 대한 지원 및 활동 금액을 상세하게 공개했으며 각 항목별로 표준화된 집계 기준을 마련하고 영리활동으로 판단될 여지가 있는 활동은 6대 활동분야 실적 집계에서 제외해 사회공헌활동 실적의 신뢰도를 제고했다.
표준화된 공통 기준에 의해 집계하기 어려운 개별 은행의 차별화된 공익 활동의 경우 새롭게 마련된 ‘추가 활동’란을 통해 설명토록 하여 은행별 특수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은행별로 사회공헌활동 관련 중장기 방향성을 고민하고 이를 ‘Part 2. 은행별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소개했다.
정량적 항목 외에도 ‘Part 2. 은행별 사회공헌활동’에 ‘상생금융 및 추가 활동’ 섹션을 추가해 정성적 항목을 보강했다. ‘Part 3. 공익연계 금융상품(상생금융 등) 및 서비스’에서는 각 행에서 현재 운영 중인 상생금융·금융교육·대체점포 운영현황과 관련 사이트·재단 정보 등을 제공해 보고서 이용자가 이러한 정보를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도 높였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