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25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가 발표한 ‘2023년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에 따르면 작년 자산 순위 6위를 차지한 포스코는 한 계단 순위가 올라 5위를 차지했다. 작년 96조3490억 원이었던 포스코의 총 자산은 지난해 132조660억 원으로 37.07%(35조7170억 원) 급증했다.
재계 순위 TOP5 등극 이유 중 하나로 이차전지소재 등 탈철강 행보를 통해 사업 영토를 넓힌 점이 꼽힌다. 최정우 회장 체제가 돌입한 2018년 이후 포스코는 당시 포스코케미칼(現포스코퓨처엠)을 중심으로 양·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육성에 집중했다. 5년여가 지난 현재 포스코퓨처엠의 양·음극재는 매출 2조 원(2022년 1조9383억 원)에 육박하며 그룹을 이끄는 핵심 사업으로 부상했다.
최 회장의 마지막 임기인 올해도 이차전지소재 투자는 이어지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24일 EV배터리용 하이니켈 NCMA 양극재 공장 추가 건설을 발표했다. 오는 2025년 해당 공장이 준공된다면 포스코퓨처엠의 하이니켈 양극재 생산능력은 4만6000톤 확대된다.
포스코퓨처엠 측은 “향후 추가 투자를 추진해 오는 2025년까지 34만5000톤 규모의 글로벌 양극재 생산체제 로드맵을 달성할 계획”이라며 “꾸준한 R&D활동과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은 24일 이사회를 열고 2025년까지 총 6148억 원을 투자, 포항 영일만 4일반산업단지에 4만6000톤 규모의 하이니켈 NCMA 양극재 공장을 추가 건설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사진제공=포스코퓨처엠.
이미지 확대보기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