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의사봉을 두드리는 이창용 총재.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2.10.12)
이미지 확대보기이는 기존 기준금리(2.5%)보다 50bp(1bp=0.01%p), 즉 0.5%p 높인 '빅스텝'이다.
금통위는 지난 7월 사상 초유의 0.5%p 금리인상을 단행했고, 직전 8월 금통위는 '베이비 스텝'인 0.25%p 금리 인상을 실시한 바 있는데, 이번 10월에 다시 0.5%p 인상으로 보폭을 넓혔다.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한국 기준금리는 2012년 이후 10년 만에 3% 시대로 진입했다.
이번 금리인상은 한은 금통위의 두 번째 빅스텝이며, 사상 첫 다섯 차례 연속 금리인상 기록이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 결정은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플레이션 대응 차원에서 물가 안정을 고려한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93(2020=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5.6% 상승했다. 지난 7월에 소비자물가 상승률 최고점(6.3%)을 찍고, 8~9월 두 달 연속 5%대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높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7인 체제로 열리는 금통위 모습.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2.10.12)
이미지 확대보기글로벌 달러 강세라는 공통 요인이 있기는 하지만, 높은 금리를 찾아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고 특히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수입물가가 높아져 다시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되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게 한은으로서는 가장 두려운 압력 요소다. 치솟은 원/달러 환율 방어 요인까지 고려할 때 빅스텝이 단행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창용닫기

10월 금통위 결과는 채권 전문가들도 10명 중 전원이 금리 인상을 예측했고, 기준금리 인상 응답자의 89%가 0.5%p 인상을 전망한 바 있어서 예상에 부합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에서 제출받은 가계부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는 모두 38만1000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 가운데 3.2%를 차지했다. 한은은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고(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초과), 자산 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자산대비부채비율(DTA) 100% 초과) 경우를 부실 가능성이 큰 '고위험 가구'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들 고위험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전체 금융부채의 6.2%인 69조4000억원에 이르렀다.
금통위가 10월 기준금리를 0.5%p 올리면서 한국(3.0%)과 미국(3.00~3.25%)의 기준금리는 일단 상단 기준 0.25%p로 좁혀졌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