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독신청
  • My스크랩
  • 지면신문
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장호성의 BMW] 따릉이부터 카카오T바이크까지, 각양각색 공공자전거 이야기

장호성 기자

hs6776@

기사입력 : 2022-02-04 09:00

6년간 지구 5926바퀴 돈 따릉이, 뉴따릉이 이어 e따릉이도 출격 준비
편리한 이용법만큼 산적한 ‘공공재화’ 문제점, 성숙한 시민의식 필요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장호성의 BMW] 따릉이부터 카카오T바이크까지, 각양각색 공공자전거 이야기
[한국금융신문 장호성 기자] [직주근접·생활인프라·학세권·숲세권…집을 구할 때 찾게 되는 수많은 조건의 공통점은 한 마디로 ‘생활권’, 결국 부동산의 꽃은 누가 뭐라 해도 ‘교통’입니다. 버스(Bus), 지하철(Metro), 도보(Walk), 국내 다양한 대중교통의 재미있는 비하인드 스토리와 개발 이야기 등 이모저모를 직접 발로 뛰며 알아봅니다. 편집자 주]

어렸을 적 기자의 집에는 꼬마들이 타고 다니는 어린이용 자전거가 있었다. 보조바퀴까지 붙인 채 아장아장 동네를 누비고 있노라면 마치 골목대장이 된 기분이었으리라.

초등학교 무렵, 부모님은 기자에게 청소년용 세발자전거를 새로 사주셨다. 어린이용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자전거에 익숙해져 있었기에, 기자에게는 ‘이 정도는 괜찮겠지’ 하는 막연한 자신감이 가득 차있었다.

하지만 집 앞 산책로에서 이 자전거를 타던 기자는 실수로 중심을 잃고 넘어져 무릎을 5바늘가량 꿰매는 봉합수술을 받아야 했다. 그 뒤로 되도록 자전거를 피하려고 노력하며(?) 살아온 것 같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길거리를 돌아다니다 보면 바로 그 자전거들이 곳곳에 세워져 있었다. 민트색의 멋스러운 디자인으로 서울 곳곳을 채운 이 자전거들이 바로 국내 완전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의 대표격인 ‘따릉이’다.

따릉이 정거장에 세워진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 사진=장호성 기자

따릉이 정거장에 세워진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 사진=장호성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 6년간 지구 5926바퀴 돈 따릉이, 뉴따릉이 이어 e-따릉이도 출격 준비
서울을 대표하는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지난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범운영되기 시작, 2015년부터 서울 전 지역에서 상용화되기 시작했다. 프랑스 파리의 공유자전거인 ‘벨리브’를 모델로 설계된 따릉이는 국내 굴지의 자전거 회사들인 ‘알톤스포츠’와 ‘삼천리자전거’에서 공급된 모델이다.

따릉이를 이용하려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기권이나 대여권을 구매해 사용 가능하다. 제로페이를 이용하면 할인 혜택도 주어지며, 환승 마일리지 등을 활용하면 더욱 경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따릉이 이용시 자동으로 자전거보험에 가입되는 것은 덤이다.

따릉이는 신촌이나 여의도, 상암동 등 도심 상권이 모여있는 곳이나 한강 등 자전거도로가 잘 구비된 곳을 중심으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지난해 10월 기준 도입 6년을 맞이한 따릉이는 누적 이용건수 8380만건, 총 주행거리 2억km, 누적 가입시민 325만4334명에 달한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 사진=장호성 기자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 사진=장호성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초기 따릉이 모델은 주행 속도보다는 내구성에 초점을 맞추고 시장에 나왔다. 수많은 불특정다수 시민들이 이용해야 했기에 무엇보다 튼튼함이 첫 번째 덕목이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따릉이는 일반적인 생활용 자전거에 비해서는 최고속도가 높지 않고, 무게도 평균 18kg가량으로 결코 가볍지 않은 편이다.

초기에 나온 모델들은 셀 수도 없이 많은 주행자들이 워낙에 험하게 몰아왔기에, 체인이나 브레이크 등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이 같은 초기형 LCD 모델들은 고유번호가 3만번 앞쪽의 모델들로, 번호를 확인한 후 잔고장이 없는지 잘 확인해보고 운행해야 한다.

지난 2020년 처음 선보여진 ‘뉴따릉이’는 기존 따릉이 대여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QR코드를 인식함으로써 간단히 대여할 수 있는 방식의 모델이다. 안장 높낮이 장치나 안장의 푹신함 등 소소한 사항들도 개선됐다.

한편 서울시는 전기자전거인 ‘e따릉이’ 도입도 준비하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이 길어지며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기존 따릉이보다 훨씬 속도가 빨라 안전모 보급이 필수적인데, 이 안전모의 분실 위험이 큰데다 안전모를 통한 코로나 전파 우려 때문에 도입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전기자전거에 들어갈 배터리 재원 문제도 발목을 잡는다.

따릉이 어플리케이션 이용 화면

따릉이 어플리케이션 이용 화면

이미지 확대보기


◇ 대전은 '타슈', 광주는 '타랑께' 지역 특색 살린 작명 눈길
서울의 인구가 가장 많기 때문에 사뭇 간과되기 쉬운 사실이지만, 지방에서는 이미 공유자전거 서비스들이 인기를 얻고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대전에서 운영 중인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타슈’다. 이 자전거들은 무려 2008년 무렵부터 대전시를 누비고 있었다. 주요 신도시 및 관공서, 지하철역에 배치된 이 자전거들은 지난해 8월, 자전거 뒷바퀴에 부착된 스마트락의 QR코드를 이용하여 대여 및 반납 가능 한 형태의 ‘타슈 시즌2’를 선보이기도 했다.

여수에서는 2012 여수 엑스포를 기점으로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여수랑’을 론칭했다. 역시 지난해 7월 신형 자전거가 도입되며 대대적인 대여 시스템 교체가 있었다.

광주 공공자전거 '타랑께'

광주 공공자전거 '타랑께'



2020년 본격적으로 선을 보인 광주의 공공자전거 서비스는 ‘타랑께’다. 대전과 마찬가지로 지역의 특색을 살린 작명이 눈에 띈다. 또 같은 해부터 수원과 고양시, 인천 연수구 등 일부 수도권에서는 ‘타조’라는 이름의 공공자전거들이 곳곳을 누비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역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에 뛰어들었다. ‘카카오T바이크’로 명명된 이 서비스는 서울과 경기는 물론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등 전국 단위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들의 바이크는 전기 자전거라 속도를 내기가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 불특정다수가 이용하는 공공자전거,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이용돼야


이렇게 편리하게만 보이는 공공자전거에도 사실 문제점은 많다. ‘공공 재화’라는 특성상 불특정다수가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자전거를 험하게 다뤄 발생하는 수리비가 만만치 않다는 점이 가장 크게 지적된다. 심지어 관리가 제대로 안 되는 경우 자전거를 훔쳐 도색을 바꾼 뒤 자기 자전거인양 타고 다니는 사례도 적발됐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만년 적자를 보다가 서비스를 종료한 공공자전거들도 왕왕 등장했다. 고양시의 ‘피프틴’, 안산시의 ‘페달로’ 등이 그것들이다.

시스템 상 문제도 종종 지적된다. 목적지까지 잘 타고 간 건 좋은데, 반납할 플랫폼이 없어서 되레 먼 거리를 다시 이동해야 한다던가, 이 때문에 아무 곳에나 자전거를 세워놓고 방치하는 사례가 생긴다던가 하는 폐단이 발생하고는 했다.

탈 때는 저렴하고 공짜로 타는 기분까지 들지만, 고장 나거나 방치된 공공자전거들을 보수하고 회수하는 데에는 결국 국민의 혈세가 들기 마련이다. 편리한 서비스를 누리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은 성숙한 시민의식도 수반돼야 할 것이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KT&G ‘Global Jr. Committee’, 조직문화 혁신 방안 제언
대내외에서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은 KT&G
국어문화원연합회, 578돌 한글날 맞이 '재미있는 우리말 가게 이름 찾기' 공모전 열어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