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참여형 가로주택-자율주택정비사업 1차 후보지 선정 결과 / 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주민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김현준, 이하 ‘LH’)와 함께 시행한 ‘공공참여형 가로‧자율주택정비사업 1차 공모’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총 16곳을 민관 공동시행 사업지구로 최종 선정하여 약 2.8천호의 주택공급이 가능한 사업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가로주택은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가로구역(폭 6m도로로 둘러싸인 구역)에서 종전의 가로와 정비기반시설을 유지하면서 소규모로 주거환경을 정비하는 사업이다. 자율주택은 단독(10세대 미만) 또는 다세대‧연립주택(20세대 미만)의 토지등소유자가 주민합의체를 구성하여 스스로 주택을 개량 또는 건설하는 사업을 말한다.
추후 정부는 대상지역을 5대 광역시까지 확대하여 12월 23일부터 공공참여형 가로‧자율주택 정비사업 2차 공모를 실시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수도권 뿐 아니라 지방 도심지에서도 가로‧자율주택 정비사업이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H는 최종 선정된 16곳의 사업지 주민들과 협의해 공동 사업시행을 위한 절차를 추진하고 있으며, 조합 설립 후 LH와 조합 간 공동시행 협약을 조속히 체결하여 내년 초부터 사업 진행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 안세희 도심주택공급협력과장은 “여러 유형의 정비사업 중에서도 5년 이내에 조합 설립부터 입주까지 가능한 가로‧자율주택 정비사업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면서, “국민들께서 원하는 양질의 신규 주택을 조속히 공급해 드릴 수 있도록 정부에서도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불필요한 규제는 제거하고 사업의 속도를 높이는 활성화 방안도 함께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