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0일 산재보험 사업주 의견제출 생략 추진에 대해 “사업주 의견제품 절차는 거짓·왜곡된 주장에 의한 부정수급 및 이해관계자 갈등 방지와 공정한 산재 보상을 위해 마련된 제도”라며 “사업주 사전 확인 없이 산재 신청된 건에 대해 회사가 이견이 있는 경우 객관적 증빙자료를 제출하도록 한 것으로, 사업주 확인제가 폐지되며 중요성이 증대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간 정부는 재해 근로자 보상권 강화를 위해 사업주 확인제 폐지를 비롯해 산재보험 적용 대상 확대, 업무상질병 인정기준 완화(추정의 원칙 적용 포함) 등 산재보상 확대 정책을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며 “산재보험 제도가 사업주 전액 부담하는 보험료에 기반하여 운영되고 있음에도 최근 정부의 제도 개편 및 근로복지공단 제도운영 과정에서 사업주 의견이 철저히 외면당하는 현실은 매우 유감”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또다시 산재 처리의 신속성 제고만을 이유로 사업주의 정당한 권리를 제한하는 시행규칙 개정을 충분한 논의 및 검토과정 없이 노동계의 입장만을 반영하여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 입장을 밝힌다”고 밝혔다.
경총은 “특히 산재 처리 기간 단축 등 보험제도 개선을 위한 노사정 TF가 지난 5월부터 가동되고 있는 상황에서, TF 논의에 불참한 노동계의 농성 요구사항을 우선시하여 입법을 강행하는 정부 조치에 절차상 문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비판했다.
이어 “현행 사업주의 의견제출은 모든 산재 신청 건이 아닌, 재해 경위가 불명확하거나 허위·거짓이 의심되는 산재 신청 사례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은 별도의 의견서 없이 사업주 협조하에 신속히 처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총은 “정부가 개정이유로 내세운 ‘사업주 의견제출 절차가 산재 신청 처리를 지연하고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전혀 다르고, 개정 강행 시 산재 판정의 공정성 훼손과 노사갈등 심화, 보험급여 부정수급 증가 등의 부작용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산재 처리 지연 문제는 고용노동부의 일방적인 사업주 확인제 폐지 등으로 급증한 산재 신청 건에 대한 근로복지공단의 미흡한 제도운영과 행정력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서, 사업주 의견제출 절차와는 관련성이 전혀 없다”고도 지적했다.
경총은 “정부가 지금이라도 사업주 의견제출 생략 추진을 전면 중지하고, 노사정이 참여하는 TF 회의 등을 통해 진지한 논의와 검토를 우선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