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 개시 시기는 내년 2분기로 예상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 연구원은 "연준 4월 의사록에서 언급된 테이퍼링 관련 논의의 경우 상당수 참석자들이 동의했으나, 그 수위는 매우 초기 단계 혹은 문제 제기 차원"이라고 평가했다.
따라서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테이퍼링 논의 돌입으로 평가하기에는 이르다고 판단했다.
그는 의사록에 소개된 내용은 얼마전 옐런 재무장관의 금리 관련 발언과도 맥을 같이 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준이 자산매입 축소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고 한 표현은 옐런 재무장관이 추가적인 (재정)지출이 경제 전체의 규모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더라도, 우리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리가 다소 인상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는 발언과 맥을 같이 한다"고 밝혔다.
그는 "4월 FOMC 의사록에서 자산매입 조정 검토 가능성이 언급됨에 따라 테이퍼링과 관련한 논의가 다시 주목을 받을 수 있지만 현재 진행되는 논의는 매우 초기 단계일 뿐만 아니라 향후 출구전략 편성을 위한 장기적인 밑그림을 제시하는 수준인 만큼 급격한 정책 전환의 여지는 크지 않다"고 부연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