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승원 연구원은 "여당은 5월 중 손실 보상법 입법 청문회를 추진해 소급적용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발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강 연구원은 "현재로서는 이미 지급된 재난지원금을 뺀 손실보상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재정은 2~8조원 가량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도됐다"면서 "최종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시장의 수급 부담이 일소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5월이 국내 경기 개선 속도의 Peak라는 점에서 시장은 이제 6~7월 경기 회복 속도 둔화를 반영할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당분간 장기금리 안정화를 전망했다.
미국 연준은 긴축을 아직 옵션으로 보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지난 4일 옐런 재무장관의 금리 인상 관련 발언 직후 시장금리는 일시적으로 상승했지만 장기금리는 장중 반락했다. 유로-달러 선물에 반영된 금리인상 폭 역시 당일 축소됐다.
강 연구원은 이런 움직임에 대해 "옐런 인터뷰의 전체 맥락이 금리 하방 압력을 키우는 재료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해당 인터뷰의 메인 주제는 3.75조달러 규모의 추가부양정책(인프라 법안, 미국가족계획) 관련이었다는 것이다.
강 연구원은 "옐런은 해당 법안은 8~10년에 걸쳐 자금이 지출되기 때문에 연간화하면 지출 규모가 미미함을 지적했다"며 "이는 2일 인터뷰에서 ‘추가부양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발생을 우려하지 않는다’는 발언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밝혔다.
즉 옐런은 시장의 가장 큰 화두인 인플레이션에 대해 연준의 입장인 ‘물가 상승은 일시적’이라는 주장을 옹호했다는 것이다.
그는 "옐런은 인터뷰 후반부의 상당 부분을 재정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증세의 필요성에 할애했다"면서 "옐런의 언급을 정책 정상화 시사로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옐런뿐만 아니라 지난주 연준 내 대표 매파인 메스터 총재는 ‘올해는 물가상승률이 2%를 상회하겠지만 내년에는 다시 2% 밑으로 하락할 것’으로 언급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파월 의장은 물가 상승이란 연속적인 상승이 이어져야 한다고 누차 주장했다"며 "기저효과와 역기저효과의 연속을 진정한 의미의 물가 상승으로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DKW 모델1로 미국 물가채 금리를 분개해보면 3월 말 이후 기대인플레이션은 오히려 소폭 축소됐다고 밝혔다.
그는 "4월 고용지표 쇼크로 파월이 통화정책 변화의 기준으로 언급한 실질적인 추가 진전(Substantial further progress)이 확인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이 확인됐다"면서 "미국채 금리는 당분간 안정적 흐름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