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우 연구원은 "한국이 국가신용등급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ESG 요소들에 대해 우수한 평가를 받음으로써 국가 신용등급 안정성도 높아질 것"이라며 이같이 예상했다.
특히 국가신용도와 신용 연계성이 높은 공기업, 은행들의 직간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 달 신평사 무디스는 144개 국가들의 ESG 평가등급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가장 높은 등급인 1등급을 부여 받았다. 11개 국가만이 1등급을 부여 받았으며, G-20 국가 중에서는 우리나라와 독일만이 1등급을 부여 받았다.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캐나다 등 주요 국가들은 우리보다 낮은 2등급을 부여 받았다.
유 연구원은 "코로나 위기 국면에서 입증됐듯이 지속가능 성장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대응력이 글로벌 최고 수준임을 글로벌 신용평가사가 인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ESG 평가는 신흥국 중심으로 국가신용등급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ESG 요소 중 E(환경)와 S(사회)의 경우 대규모 친환경투자와 복지지출이 수반되기에 일반적으로 국가 신용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높다. 특히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G(지배구조) 측면에서 재정적, 제도적 대응력이 부족한 신흥국들의 경우 더욱 그렇다.
평가대상 국가 144개 중 ESG평가가 신용등급에 긍정적(1등급)이거나 중립적(2등급)인 국가는 41개국에 불과했고 신용도에 부정적인 3~5등급 국가는 103개나 됐다고 밝혔다.
유 연구원은 특히 "우리나라는 분야별 평가에서 E(환경) 2 등급, S(사회) 2 등급, G(지배구조) 1등급으로 그 결과도 최상위에 포진해 있다"면서 "세부 기준별 평가결과도 전반적으로 양호했으며 특히 지배구조 부문이 양호한 재정건전성과 제도적 수준에 힘입어 우수했다"고 밝혔다.
반면 사회 부문의 경우 교육 , 보건 및 안전, 기본 서비스 접근성에서 1등급을 받았으나 저출산, 빠른 고령화 등으로 인구부문은 4등급의 저조한 결과를 받았다.
그는 "선진국들, 특히 유럽국가들에 비해 ESG 관련 투자가 늦었지만, 그들 이상의 평가를 받는다는 것은 큰 성과"라며 "국가 신용등급 안정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