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타액 만으로 3분 내로 신속하게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코로나19 반도체 진단키트를 개발 및 승인 신청해 올 3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치료제의 경우 임상 2상이 완료된 국내 치료제를 복지부 등과 협업해 의료현장에 신속히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기술로 개발 중인 백신에 대해 전임상, 해외 임상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이외에도 오는 4월까지 모듈형 음압병실을 시범운영 및 상용화를 추진하고, 올 하반기 중으로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를 설립할 예정이다.
디지털 뉴딜 정책도 가속화한다. 16개의 빅데이터 플랫폼과 18개의 센터로 데이터 공급 및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150종을 확충한다. 인공지능 연산에 최적화된 지능형 반도체(PIM)와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또한 국민이 불편 없이 5G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85개시 주요 행정동과 모든 지하철·KTX·SRT 역사 등에 촘촘한 5G 망을 구축하고, 미래 네트워크인 6G, 양자정보통신 등 핵심기술 개발 착수에 나선다.
올 상반기 중으로는 데이터기본법, 디지털집현전법, 디지털포용법 등 ‘디지털 전환 3법’ 및 ‘비대면산업법’ 제정을 추진한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올 3월 ‘탄소중립 연구개발 투자방향’을 수립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한다. 또한 ‘2050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프로젝트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촉진법’을 제정해 선도기술 확보에 나선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인 누리호 발사 성공에 집중해 우주 영토 확장에도 힘쓴다.
또한 신약, 의료기기, 재생의료 분야에 집중 지원 및 산재된 연구 데이터를 통합 수집·제공하는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구축한다. 연구자가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를 2배 확대해 국정과제를 완수하고,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본격 시행해 부처별로 산재된 규정과 시스템 등도 정비한다.
아울러 정부는 다양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쓴다.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산재보험 적용을 관계부처와 합의하고, 박사후연구원이 자유롭고 주도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인공지능 대학원을 기존 8개에서 10개로 확대해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 10만명 핵심인재도 본격적으로 양성한다.
이외에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디지털 역량교육을 시행하고, 공공 와이파이를 1.5만개 신규 구축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해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ICT) 혁신으로 2021년을 회복, 포용, 도약의 해로 만들 것”이라며 “업무계획에서 발표한 코로나 조기 극복,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과학기술 혁신과 포용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들을 차질 없이,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