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7일 ‘와이파이 6E’ 규격을 따르고 노트북과 스마트폰에 2.88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차세대 와이파이 무선 공유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와이파이 6E는 ‘와이파이 6’에서 확장된 표준 기술이다. 무선 주파수의 포화 상태로 발생하는 통신 간섭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6GHz 대역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와이파이 6E의 최대 속도는 2.4Gbps로, 와이파이 6보다 약 2배 빠르다.
6GHz 주파수는 지난 10월 과기정통부가 공급한 비면허 통신용 주파수다. 기존의 와이파이 무선 공유기가 이용하던 2.4GHz나 5GHz 비면허 대역보다 더 넓은 160MHz 대역폭(전체 1200MHz 대역폭) 7개의 채널을 갖고 있다.
KT가 개발한 차세대 와이파이 무선 공유기는 3개의 비면허 주파수 대역 2.4GHz와 5GHz, 6GHz를 이용한 통신 모두를 지원한다. 장비 1대는 초당 10.74기가bit(10.7Gbps)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는 와이파이 6 무선 공유기보다 80% 빠른 수준이다. 접속 용량도 기존보다 1.5배 커져 1대의 공유기에 단말 1500대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차세대 와이파이 무선 공유기에는 ‘와이파이 7’에 적용될 핵심 기술 후보 중 하나인 ‘4096 QAM(직교진폭변조)’이 시범적으로 적용됐다. ‘4096 QAM’은 하나의 신호에 12bit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변조방식이다. 데이터 전송 효율이 와이파이 6보다 20% 높다.
와이파이 6는 ‘1024 QAM’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하나의 신호로 10bit의 데이터를 보낸다. 다시 말해 4096 QAM을 적용하면, 일반적인 와이파이 6E 무선 공유기가 제공하는 속도보다 빠른 2.8Gbps(이론상 최고 속도)의 초고속 와이파이 서비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 상무는 “언택트 시대로의 급격한 전화에 따라 안정적인 무선 인터넷 환경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대한민국 1등 인터넷 사업자인 KT는 고객이 언제나 최고의 속도와 품질을 경험할 수 있도록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