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전반적으로 국가별 산업구조와 방역대응 능력, 정책 여력 등이 달라 경제 영향도 차별화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이같이 전망했다.
센터는 트럼프닫기

센터는 다자주의 회귀로 미국과 교역이 많은 아시아·중남미 국가의 수혜가 기대되지만 환경·노동 분야 제도가 취약한 국가들은 무역협상에서 불리해질 소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중국의 경우 통상정책의 불확실성이 줄어들지만 패권 다툼의 쟁점이 관세에서 기술·인권·환경 등으로 확대되고 미국이 동맹국과 연합해 공조 압박을 강화할 소지가 있다고 풀이했다.
JP모간은 바이든 당선 시 트럼프 당선에 비해 위안화 가치가 3.9% 상승할 것으로 추정했다.
센터는 "아시아 지역의 경우 최근 RCEP의 진전에 대응해 미국이 CPTPP에 가입할 경우 교역 증대가 기대된다"면서 "바이든의 친이민 정책도 아시아 인력송출 및 해외송금(reremittance)에 긍정적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는 중국 의존도가 높아 미국의 클린네트워크 참여 요구 등에 직면해 미·중 양자택일의 딜레마에 직면할 소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중남미의 경우 ‘Buy American’을 본격 추진할 경우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으로 주변국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미주개발은행(IADB)·IMF 등 지원을 통해 간접적으로 아르헨티나·에콰도르 등의 부채부담 경감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EU-Mercosur 무역협상이 아마존 등 환경문제로 정체된 것처럼 미국과도 갈등 재현 가능성도 있다고 풀이했다.
중동 정책과 관련해 바이든은 트럼프 대통령이 파기했던 이란 핵협상(JCPOA)을 재개하고, 對이란 압박을 적극 지원해 온 사우디아라비아에 강경 기조로 선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풀이했다.
對이란 원유 수출 제재가 완화될 경우 일일 200만배럴 가량의 원유 공급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도 대두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