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해 올해 국정 감사의 주요 쟁점인 '구글 인앱 결제 논란'에 대한 논의는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힘들 것이라는 업계 예측이 우세하다.

국감에는 워커 대표를 대신해 국내 마케팅, 광고 영업을 총괄하는 존 리 사장이 출석할 전망이지만, 업무의 영역이 다르고 공식 대표가 아니기에 실질적인 논의가 가능한 답변을 듣기는 힘들어 보인다.
구글이 구글플레이 내의 전체 앱, 콘텐츠에 자체 결제 시스템(인앱 결제)를 의무화하고 30%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한 구글 인앱 결제 정책이 과한 수수료 논란을 낳아 국감의 주요 쟁점으로 올랐다.
구글 측은 지나친 수수료 부과 논란에 대해 '인앱결제 수수료 30%'는 거의 콘텐츠를 의미하는 영화, 게임, 음악, 만화 등의 디지털 재화를 거래할 때만 해당된다며 카카오 T를 통한 택시 서비스 결제와 배달의 민족, 쿠팡 등 상품 거래에는 해당되지 않는다며 입장을 밝혔다.
국회 과방위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엔씨소프트의 참고인 출석 제외에 대해, 개별 콘텐츠 사업자로 구글의 문제를 지적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요구를 철회했다고 말했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