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지성욱 교수 연구팀이 활성 산소로 변형된 유전자 정보를 해독한 이같은 연구결과를 5일(영국 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을 받아왔다.

지성욱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
지 교수 연구팀은 심장비대증에서 '8-옥소구아닌(o8G)'이라는 변형된 마이크로 유전정보(RNA)가 많이 발견되는 현상에 주목했다. 염기 서열의 특정 위치가 8-옥소구아닌으로 변형된 마이크로RNA를 생쥐의 혈관에 주입하면 생쥐의 심근 세포가 비대해 지면서 심장비대증을 유도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에 변형된 마이크로RNA와 결합해 그 기능을 저해하는 물질을 새롭게 개발하고, 생쥐 실험을 통해 심장비대증을 억제하는 치료 효과도 규명했다.
심근경색환자의 심장 조직 염기 서열 분석 결과에서도 동일한 마이크로RNA의 산화 변형이 나타나는 만큼, 향후 심장 질환 관련 신약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지 교수는 "심장 질환뿐만 아니라 퇴행성 질환, 암, 당뇨 등 활성 산소와 연관된 다양한 질병에서 유전자 변형과 질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보편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