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 측은 글로벌 경기하락에 따른 철강, 화학, 부품 등 수요산업의 회복이 지연되면서 실적이 악화될 우려가 있었지만, 이를 대비한 선제적 비용절감 및 여신거래 축소 등 리스크 관리를 통해 이익 감소폭을 최소화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략 사업 중 하나인 식량사업은 중국, 베트남 향 대두, 옥수수 판매 확대와 함께 글로벌 투자 인프라의 안정적 운영 등으로 식량 거래량이 크게 향상하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또한 에너지 사업에서는 유가 하락으로 미얀마 가스전 판매가격이 소폭 하락했음에도 2분기에 총 500억 입방피트, 일평균 5억5000만 입방피트를 판매하며 견조함을 이어갔다. LNG 트레이딩에서도 상반기에 총 100만톤의 거래량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이익 및 현금흐름 중시 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으며, 운전자본 관리 강화로 재무구조 건전성 제고와 함께 부채비율을 감축해 나가고 있다”며 “하반기부터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도 본격적으로 가동을 확대하는 등 식량사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E&P, LNG 등 전략사업도 지속적으로 밸류체인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