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30년-10년 스프레드가 4월 14일 이후부터 줄곧 10bp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1월만 하더라도 30년 금리가 10년 금리보다 낮은 상황이 유지됐으나 이후 역전이 해소되더니 3월 하순엔 금리차가 10bp 수준까지 벌어졌다.
지난 4월엔 29일엔 보험사의 외화자산 운용한도를 상향하는 '보험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향후 적지 않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는 평가 등이 나오기도 했다.
■ 당장은 안 와 닿는 보험업법 개정안..일단 향후 초장기 스프레드 과거 같은 마이너스는 쉽지 않은 일
최근 수년간은 매 해 후반에 가면 30-10년 스프레드 마이너스 폭이 커지는 일이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됐다.
하지만 현재로선 이 같은 일이 되풀이되기 쉽지 않다는 게 다수의 인식이다. 향후 채권 공급 확대로 과거처럼 스프레드가 큰 폭으로 축소되거나 역전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자산운용사의 한 매니저는 "30-10년 스프레드의 최근 범위 10~15bp 수준도 그럴 듯하다"면서 "앞으로 보험권 수급에 변화가 오면 20bp 내외 정도면 적당하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최근 초장기 스프레드가 벌어진 가운데 보험업계 해외투자 확대라는 미래의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오지만, 당장 이 이슈의 영향이 크게 와닿지는 않는 분위기다.
보험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시행은 공포 이후 6개월이 경과한 후로 예정돼 있다.
개정안이 시행되기까지 반년 정도의 짧지 않은 시간이 남아 있는 만큼 4분기 이전까지는 이 법안의 영향이 제한될 것이란 관점들도 보인다. 아울러 국내물과 해외물의 메리트를 따져서 접근할 수 밖에 없다는 시각도 보인다.
보험사의 한 운용자는 "지금은 스프레드나 절대금리 모두 위, 아래로 더 출렁거려도 이상하지 않은 국면"이라며 "미국 커브, 경기 쇠퇴기의 국내 금리 스프레드, 공급량 확대 재료 등을 감안하면 스팁 기대도 살아 있고 지표를 보면 불 플랫도 이상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다른 보험권 운용자는 "일단 지금 레벨에 적극적으로 들어갈 것 같지는 않은 분위기다. 향후 외화자산 운용한도 확대 문제는 당장 영향을 주기는 어렵고, 일방적으로 해석하기도 어렵다"고 평가했다.
■ 향후 보험업법 개정안은 해외채 투자 얼마나 자극할까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보험업법 개정안의 핵심은 기존 일반계정 30%, 특별계정 20%로 제한했던 보험사의 외화자산 운용한도를 일반ㆍ특별 계정 모두 50%로 완화한다는 내용이다.
그간 저금리 환경에서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던 보험사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이뤄진 결정이었다.
보험사가 국내 초장기채 잔고의 3/4 가량을 점하고 있는 만큼 향후 해외투자가 활성화되면 상당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들도 엿보인다.
과거에도 보험사 해외투자 관련 제도 변경은 수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만큼 이번 국회의 결정도 앞으로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진단도 있다.
지난 2013년 10월 보험사의 환헤지 관련 규제가 완화(환헤지를 체결한 외화채만 자산 듀레이션 인정 → 1년 이상 환헤지 채권에 대해서도 듀레이션 반영)된 뒤 외화채 비중이 늘어난 바 있다. 2013년 7% 수준에서 2019년 22%까지 확대됐다.
최근까지 보험권이 해외채를 늘리는 과정에서 국채보다는 특수채, 금융채 등의 비중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영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 2013~2019년 보험사의 국채 비중은 34.3%에서 41.6%로 7.3%p 확대된 반면 특수채와 금융채, 회사채는 각각 14.8%p, 3.6%p, 3.0%p씩 축소됐다"면서 "10년초과 장기채 순매수 규모가 꾸준히 늘어난 점이 특징적인 반면 10
년이하 구간에서는 순매수 규모가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향후 미래 여건은 보험사들의 해외 채권 투자를 늘리는 쪽으로 작용할 수 있고 환 헤지 여건, 전반적인 물량 확대 등이 국내물보다 해외물 투자를 자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일반계정 운용자산 대비 외화유가증권 비중은 한화생명 28.1%, 동양생명 22.9%, 교보생명 22.3%로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라며 "이번 조치로 인해 해외투자에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보험사는 점차 외화자산 비중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스왑레이트 정상화시 외화채 투자 매력은 커진다. 더 중요한 문제는 역시 수급"이라며 "3차 추경을 감안할 경우 올해 국고채 발행규모는 164조원으로 추정되고 순발행만 118.2조원에 달할 듯하다. 초장기의 경우 지난해 발행비중 35.8%를 적용하면 58.8조원 수준에 달해 작년 36.5조원 대비 엄청나게 늘어난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보험사가 보유한 전체 원화채 대비 10년 초과 장기채 비중이 2013년 22.1%(60.2조원)에서 현재 50.8%(237.6조원)로 4배 가까이 증가한 가운데 IFRS17 도입시기가 2023년으로 1년 더 늦춰져 초장기물 매수의 시급성도 줄었다고 평가했다.
당장은 아니지만 보험업법 개정안이 4분기에 시행이 되면 한 때 전세계에서 가장 좁은 초장기 스프레드를 자랑했던 한국의 초장기 커브에 상황 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다는 진단도 보인다.
문홍철 DB금투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보험업법 개정과 FX스왑 개선이 맞물리면 연말 경부터 보험사 원화 채권 수요가 크게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초장기물 스프레드에 영향을 미쳐 선진국보다 과도하게 평평한 이자율 곡선을 정상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보험사 자산 듀레이션은 작년말 현재 9년을 넘어선 것으로 보이고 연간 0.4~0.8년 가량 증가했다"면서 "듀레이션 증가속도는 해외투자 증가와 비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3년 초라면 이 수치가 10년을 훌쩍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보험사 자산증가 속도가 과거 대비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에서 듀레이션을 늘리려는 보험사들은 5년 이하 채권을 팔고 외화 장기자산을 늘리려고 할 수 있다"면서 "5년은 정부보증기금채의 영향도 받는 영역이어어서 수급 부담이 장기화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해외물과의 경쟁을 감안할 때 10년/30년 스프레드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향후 보험업법 변화가 초장기 스프레드를 크게 확대시킬지 여부를 장담하기 어렵고, 해외 쪽의 투자 메리트도 봐야 한다면서 조심스러워 하는 모습도 보인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보험사 해외투자 확대와 관련한 법 개정안은 그냥 규제 완화의 의미가 있다는 정도로 본다"면서 "일단 국내 투자가 목에 찬 일부 보험사만 추가 투자의 룸을 확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지금은 해외 금리도 워낙 빠져서 환 헤지 후 신규 투자 메리트가 원화 대비해서 별로 없는 상황"이라며 "IB 투자는 소강상태이고 한도를 늘려줘도 해외 투자를 적극적으로 늘릴 상황도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