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농심
15일 농심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877억원, 영업이익 63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액은 16.8%, 영업이익은 101.1% 성장한 것이다.
농심의 1분기 매출 성장의 주 요인은 짜파구리 열풍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내·외 라면소비 증가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농심의 1분기 국내법인 매출(수출포함) 은 전년 대비 14.2% 성장한 5199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법인 실적은 25.9% 늘어난 1677억원이었다. 지난 2월 영화 ‘기생충’ 오스카 수상을 계기로 국내는 물론 세계 각지로 짜파구리 인기가 번지면서 짜파게티와 너구리의 매출이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코로나19 영향으로 해외 소비자들까지 라면을 찾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라면소비가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특히 해외시장 성장을 눈여겨 볼만 하다. 짜파구리 열풍에서 시작된 한국 라면의 인기가 전 세계로 번졌고, 이후 코로나19 가 해외로 확산하면서 미국과 중국, 일본, 유럽 등에서 라면 사재기 현상도 나타났다. 농심은 미국과 중국 현지 공장을 풀가동하는 동시에 수출물량을 대폭 늘려 수요에 대처했다.
‘집콕족’의 온라인 쇼핑이 늘어난 것도 실적을 견인했다. 농심의 온라인 라면 매출이 전년 대비 115% 증가했고, 라면 수요가 급증해 공장가동률과 생산효율성이 높아진 한편 시식과 프로모션 활동이 제한되면서 판촉 비용도 줄었다. 이에 따른 고정비 감소효과가 나타나면서 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다만 이번 매출과 이익 증가는 '일시적인 특수'로 평가했다. 외부요인으로 인해 라면뿐만 아니라 여러 먹거리, 생필품 등의 소비재 기업들이 단기적인 호실적을 냈다는 평가에서다. 농심 관계자는 “2분기 들어 유럽, 미국 등 해외시장의 라면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상황”이라며 “ 수출을 확대하고 해외법인을 중심으로 현지 시장 수요에 적극 대처해,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