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업계에서는 지난해에도 전년에 이어 회사 최고경영자(CEO)보다도 더 많은 보수를 받은 임직원이 다수 속출했다. 다수의 증권사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낸 만큼 그에 따른 인센티브가 지급됐다는 해석이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각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최용석 한화투자증권 사업부장은 지난해 권희백 한화투자증권 대표의 보수(5억2900만원)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총 13억5900만원을 벌었다. 김철민 한화투자증권 팀장도 권 대표보다 많은 총 5억8100만원을 받았다.
하나금융투자는 이상호 상무대우가 지난해 총 8억6100만원을 벌어 ‘연봉킹’에 올랐다. 이어 김정훈 상무대우(8억300만원), 김학우 영업상무(7억9700만원), 진형주 상무대우(7억7300만원)는 7억4700원을 받은 이진국닫기

강정구 삼성증권 영업지점장은 지난해 총 20억2100만원을 보수로 받아 장석훈닫기

KB증권에서는 고영우 상무보가 연봉 12억2000만원을 받아 김성현닫기

CEO가 사내 고액연봉자 상위 5명 안에 들지 못하는 곳도 있었다.
이어 민은기 이사대우 실장(19억6600만원)과 신준화 이사대우 실장(6억8900만원), 남궁환 전 상무(6억2500만원), 성정현 부장(6억1600만원)이 한양증권 고액 연봉자 명단에 올랐으나 임재택닫기

부국증권 또한 CEO가 고액연봉 상위 5명에 들지 못했다.
박정준 부국증권 부사장은 지난해 19억1700만원을 수령해 박현철 대표(5억1800만원)보다 세 배 이상 많은 연봉을 벌어들였다. 뒤이어 정원석 차장(17억400만원), 김훈 전무(11억6400만원), 정내혁 상무(8억6000만원), 강승훈 상무보(7억600만원)가 부국증권 고액 연봉자 명단에 올랐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외부에서 바라볼 때 지나친 실적 만능주의라고 볼 수 있겠지만, 능력이 뛰어난 직원이 그에 상응하는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금융투자업계의 구조가 오히려 더 공정하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일을 열심히 하고 잘하는 직원이 제대로 우대 받고, 개개인의 성과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져 전문성 높은 인사제도가 운영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