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 = 손해보험협회
10일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가마감 기준 지난달 대형 손보사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전년 동기보다 일제히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계절적 요인에 따른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전년 동월과 비교한다.
삼성화재는 86.2%에서 87.2%로 1.5%p 올랐다. DB손보의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전년 동기보다 2.6%p 높은 87.0%로 집계됐다. KB손보는 85.9%에서 88.0%, 현대해상은 85.1%에서 87.0%로 올랐다. 메리츠화재(84.0%), 한화손해보험(87.2%) 등 다른 주요 손해보험사 역시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업계에서 적정 손해율로 보는 78∼80%를 여전히 웃돌았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받은 보험료 대비 지출한 보험금의 비율을 말한다.
당초 업계 안팎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이 자동차보험 손해율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외출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운행량이 감소하는 만큼 사고발생 확률이 줄어들고, 코로나19 공포로 장기 입원하는 나이롱 환자가 감소할 것이란 분석에서다.
결과적으로 코로나19에 따른 반사이익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인해 주말 차량 운행량은 줄어든 반면, 평일 운행량은 오히려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 현대해상·DB손보·KB손보의 2월 교통사고 접수 건수는 28만8866건으로, 작년 2월 27만5066건보다 1만3800건가량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주말 차량 운행량은 감소했으나 되려 평일에 자동차를 이용해 이동하는 사람이 늘어 운행량과 사고 건수가 증가했다"며 "건당 손해액과 한방치료비 등이 증가해 손해율이 악화됐다"고 말했다.
유정화 기자 uhw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