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본관 대회의실에서 긴급 간부 회의를 열고 연준의 금리 인하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박종석 부총재보, 통화정책국장, 조사국장 등이 참석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7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정책여건 변화에 대해 “지난주 후반부터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글로벌 경기상황에 대한 우려가 확대됐다”며 “이에 대응해 전날 주요 7개국(G7) 중앙은행 총재와 재무장관들이 정책 공조를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미 연준이 임시 FOMC 회의를 열어 금리를 50bp 인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 연준의 이러한 조치로 미국의 정책금리(1.0~1.25%)가 국내 기준금리(1.25%)와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졌다”며 “향후 통화정책을 운영함에 있어 이와 같은 정책여건의 변화를 적절히 감안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만으로 코로나19의 파급영향을 해소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이 과정에서 정부정책과의 조화를 고려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아울러 코로나19의 전개 양상과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수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앞으로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시장 안정화 노력을 적극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연준은 3일(현지시간) 오전 긴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1.50~1.70%에서 1.00~1.25%로 0.50%포인트 인하했다.
연준이 예정된 정례회의가 아닌 시점에 금리를 내린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당시 연준은 정례회의와는 별도로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0.5%포인트에 달하는 인하 폭도 2008년 12월 이후 최대다. 연준은 성명을 통해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가 경제활동의 리스크를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