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BACO 통계시스템의 조사 결과, 리얼 버라이어티의 PPL을 관심있게 본다고 말한 비중과 연령대별 관심 품목 1, 2위를 나타낸 표/사진=오승혁 기자(자료 편집)
이미지 확대보기PPL 관심품목은 연령대별로 조금씩 달랐다. 10대는 휴대폰, 20대는 의류, 30~50대는 자동차, 60대는 생활가전 PPL에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그중 의류는 전 연령대에서 관심도 2위 안에 랭크되어 PPL 효과가 유의미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20~30대의 38%는 PPL로 알게 된 제품의 정보를 추가 탐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28%는 구입 및 이용경험도 있다고 응답했다.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수치는 낮아졌는데, 장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모바일 이용률이 낮아 정보탐색이 제한적이라는 점, 자동차 등 고가품목 PPL에 관심이 커 실 구매로 연결되기가 쉽지 않은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자료는 지난해 MCR에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즐겨 시청한다고 응답한 2296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재집계한 것으로, 코바코 통계시스템이 제공하는 MCR을 이용했다.
원시데이터는 방통위 정부혁신 실행계획에 따라 대국민 공개 중이며, 코바코 통계시스템에서 로그인 없이 내려 받을 수 있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