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달러당 1215.3원.
8월 6일 기준 원/달러 환율 종가는 1달러 미화 지폐랑 1215.3원 원화가 등가 교환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지난해 12월초 1100원대였던 원/달러 환율은 꾸준히 오르며 5월말 1190원대를 터치하고, 이후 6월말 1150원대까지 내려왔습니다.
그러다 V자를 그리며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 이슈로 원화가치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고 하네요.
원화만 붙들고 있으면 대외 이슈에 따라 자산 가치가 등락하는 셈입니다. 달러로, 엔으로, 유로로 통화 분산해둔다면 이런 대외 이슈에서 조금 자유로워지겠지요.

외화예금은 포트폴리오의 통화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사진= 한국금융신문 DB
외화예금은 기본적으로 수출입 기업들의 외화자금 관리에 맞춤돼 있는데, 개인 입장에서도 통화가치에 따라 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물론 외화예금 특성상 환율이 하락하면 만기 때 원화로 찾을 때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뚫어버린 현재 시점에서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달러가 더 오를까요?'라는 질문 속에 전문가들은 "달러를 환전해 사기에는 버거운 시점"이라고 당부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에 달러가 필요한 만큼 다시 환율이 진정되면 목표 구간을 정해 달러를 분할 매수 해라"라는 게 중론입니다.
자녀 유학 등 실수요라 할 수 있는 층은 환변동을 고려해서 달러를 많이 사둔 경우가 많을 텐데, 이분들은 매집한 환율보다 쌀 때 추가로 매집하는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우세한 편이니 참고할 만 합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KEB하나은행 PB(프라이빗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거쳐 올초 발표한 '2019 코리안 웰스 리포트(Korean Wealth Report)'를 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부자들은 외화자산을 투자하거나 보유하는 목적이 투자 다양성 확보, 유학 및 해외송금 등 사용자금 대비, 투자수익 획득, 정치경제적 위험 대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산가들이 "외화자산을 단순히 투자 목적이 아니라 현실적인 사용이나 위험 대비용으로 고려하는 있다"고 조사됐으니 살펴볼 만 합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