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환종 연구원은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아래 부진한 경기와 위축된 투자심리 반등에는 7~8천억헤알 규모 이상의 연금개혁 통과가 선결조건"이라며 이같이 예상했다.
그는 상당수의 시장참가자들은 연금개혁 규모 및 통과여부를 향후 브라질 투자 재개의 트리거로 판단하며 브라질 정국을 관망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주 브라질 채권시장은 최근 약세에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과 경제전망 하향 조정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면서 강세를 보였지만, 최근 브라질 자산시장은 연금개혁을 둘러싼 정부와 의회의 갈등으로 진행이 지연되고 주요 경제 전망치가 급격하게 하향 조정되면서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대외적으로는 브라질 3대 교역국인 아르헨티나의 경기 침체로 아르헨티나 페소화 환율이 급락하면서 4월 아르헨티나 향 수출규모가 전년 동기대비 46% 급감했다"면서 "또한 미중 무역분쟁 등의 영향에 대두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음에도 대부분의 수출품 교역상황이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미중 무역갈등 심화로 인한 인한 교역 감소가 대외 불확실성을 높인 점 역시 브라질 경기 회복에 부담을 준 것으로 봤다.
대내적으로는 연금개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볼소나로 정부의 소통능력 부재로 학생들의 시위 및 노동자들의 파업 등 국민 여론이 악화된 점이 자산시장에 부담을 주는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연금개혁 등으로 촉발된 정치적 불화실성 증대와 글로별 교역 환경 악화 등 대내외적 경기 개선 요인 부재가 실업률 개선 정체, 투자 및 심리 위축으로 이어진 점이 브라질 자산시장 반등을 저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요약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