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사무소는 22일 "단기적으로 미국의 중국산 제품 관세 부과로 대중 중간재 수출의존도가 높고 현지 생산기지를 다수 보유한 한국에 부정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기준 대중 수출 및 중간재 수출 비중은 각각 약 27% 및 79%였다.
수출입은행은 "한국 기업은 필요 시 중국 내 중간재 생산법인 일부를 베트남 등지로 이전 또는 중국 생산 물량을 본사로 전환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반면 중장기적으로 미국이 요구한 대중 투자여건 개선 등은 외상 투자기업 전체에 유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중국 이탈(China exit)'은 지양하고, 다각도로 영향 요인을 검토 한 뒤 결정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중 갈등이 커지면서 중국은 단기적으로 수출에 타격을 받고 소비심리 저하로 하반기 재정, 통화정책 효과도 상쇄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분쟁 장기화는 중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봤다.
상해사무소는 "중국은 협의수준 조정을 통해 현 상황을 일단락 짓고 쟁점 사항을 상호 우호적으로 해소하는 게 유리하다"면서 "대미 맞대응 전략으로 미국채 매각, 희토류(반도체 원재료, 2018년 세계 생산량 1위 및 70% 점유) 공급 차단, 비관세 장벽 강화, 위안화환율 상승 등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조치들은 분쟁 해소·대응에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미국 역시 올해 하반기 및 2020년 대선이 다가올수록 입지가 불리해질 수 있다고 봤다.
상해사무소는 "미국이 3천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추가로 부과할 경우 유효한 제재수단이 부족해질 것"이라며 "하반기 경제 운용에 대한 우려가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미국은 미중 분쟁 외 이란 및 베네수엘라 경제 제재, 북한 핵 폐기 등의 대외 과제가 산적해 있다"면서 "대선 시기가 다가올수록 트럼프닫기

또 "중장기적으로 트럼프는 입지가 불리하다고 판단될 경우 중국과의 협의를 노딜(no deal) 처리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