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삼성증권
삼성증권은 최근 전 지점에서 해외주식세미나 참석고객 중 5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0.4%가 향후 유망투자지역으로 미국을, 28.3%가 베트남 등 아시아 이머징을 꼽았다고 17일 밝혔다. 무역분쟁으로 미국과 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은 21.7%로 3위에 올랐다.
향후 해외주식투자 비중과 관련한 질문에는 응답자 60.7%가 투자를 늘리겠다고 답했으며 유지하겠다는 답변은 31.1%를 차지했다. 줄이겠다는 답변은 8.2%에 불과했다. 자신의 금융자산 중 해외 비중을 얼마까지 늘리겠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52.6%가 최대 30%까지 확대하겠다고 답해 해외분산투자가 투자의 중요한 축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종목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해당 기업의 미래성장 스토리가 응답률 37.0%로 가장 높게 나왔다. 삼성증권은 투자자들이 수익률 제고를 위한 성장자산발굴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글로벌투자에서 가장 관심 있는 이슈는 미·중 무역분쟁(32.8%)과 4차산업혁명 관련 산업변화 양상(32.1%)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차지했다. 해외주식 거래 시 활용하는 정보 채널로는 45.9%가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를 택해 온라인 정보 활용도가 높아진 국내주식 대비 전문적인 해외주식 정보를 보유한 PB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해외주식세미나에 오신 투자자 대부분이 해외주식정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며 “글로벌 제휴사의 리서치를 활용한 투자정보 발굴과 함께 PB들을 해외현지에 파견해 해외주식연수를 진행하는 등 정보만족도 제고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