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필드 고양. 신세계그룹 제공
20일 한국경제연구원은 ‘유통산업 육성이 시급한 5가지 이유’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 같이 주장했다. 유환익 한국경제연구원 정책본부장은 “국내 유통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유통 소매기업 상위 200개사의 전체 매출액은 128조 4000억원으로 미국 코스트코 1개사 매출액(137조 8000억원)보다도 적다. 월마트 매출액 563조 9000억원과 비교했을 때는 22.8%, 아마존(158조원)대비는 81.4%에 불과한 수준이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이어 발전(6.1), 건설(6.0), 정유‧산업기계(3.7), 보험(3.5), 자동차(3.2), 제철(1.4), 전자(1.0) 등이 차지한 타 산업과 비교해보면 글로벌 경쟁력이 매우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전자의 경우 삼성전자가 국내 1위인 동시에 글로벌 1위를 차지해 격차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한경연은 고용 측면에서 유통업이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점도 규제 인식을 탈피해야 하는 이유로 꼽았다. 유통산업의 고용비중은 전체 산업평균(4.8%)의 3배인 14.2%를 기록했다. 특히 대형 복합쇼핑몰 1개가 특정지역에 입점하는 경우 5000~6000명 내외의 상시 고용이 이뤄지며 총 1만명 이상의 취업유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여주 신세계 아울렛과 파주 롯데아울렛의 ‘외국 여행사 패키지 코스’와 같이 복합쇼핑몰과 아울렛 등의 대규모 점포가 한국 관광 상품으로도 활용되는 점을 감안했을 때 내수활성화에도 기여한다는 게 보고서의 주장이다.
또 최근 글로벌 유통기업들이 무인 매장 ‘아마존고’과 같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탕으로 유통혁신을 이루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 유통기업들은 실적이 악화되고 있어 이 같은 기류에 편승하지 못하는 점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실제 최근 4년간 국내 200개 유통기업의 영업이익은 24.8%, 순이익은 4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는 유통규제 강화 목적의 법 개정안이 28건 계류 중이다.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일과 영업제한 시간을 확대하고, 규제대상을 대형마트에서 복합쇼핑몰, 백화점, 면세점 등으로 확대한다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유 본부장은 “전경련 조사 결과 소비자들의 61.5%는 유통 규제의 폐지‧완화를 희망하고 있고 대규모점포에 대한 지역주민의 입점 요구 또한 직접적으로 표출되고 있다”며 “관련 법안 논의 과정에서 소비자의 선택권과 편의가 배제되고 있는 것도 문제점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