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 시중은행은 18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코픽스 연동 변동금리를 인상한다.
신한은행의 변동성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82∼4.13%에서 2.83∼4.14%로 올라간다. 우리은행은 2.87∼3.87%에서 2.88∼3.88%로, 하나은행은 3.02∼4.10%에서 3.03∼4.11%로, 농협은행은 2.61∼4.21%에서 2.62∼4.22%로 0.01%포인트 올라간다. 국민은행은 코픽스 상승과 함께 가산금리 변동으로 3.10∼4.30%이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15∼4.35%로 0.05%포인트 상승한다.
◇두 달 연속 상승한 코픽스
시중은행들은 은행연합회가 매달 고시하는 코픽스 금리에 은행들이 자체 산정하는 가산금리를 붙여 대출금리를 결정한다. 이 코픽스 금리가 두 달 연속 상승 중이다.
은행연합회는 올 6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48%로 전월인 5월보다 0.01%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올해 4월 1.46%에서 5월 1.47%로 오른 데 이어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금융채(AAA) 5년물 금리도 상승세를 보이면서 금융채 기준 주택담보대출도 오르고 있다. 금융채 5년물 금리는 올해 초만 해도 2.03%였고 한 달 전인 지난달 16일만 해도 2.08%였지만 지난 17일에는 2.17%로 0.09%포인트 올랐다. 5% 대 대출 금리 전망도 여기서 시작된다. 실제로 하나은행의 경우 지난달 16일 3.375∼4.595%이던 금융채 5년물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18일 기준으로 3.706∼4.706%까지 올랐다.
가산금리를 낮춘 우리은행을 제외하곤 다른 대부분 은행도 같은 기간 금융채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0.09%포인트씩 올랐다. 금리 상승세의 배경은 미국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또 한국은행도 최근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올해 안에 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65.4%였다. 변동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관련 대출 상품을 이용 중인 가계에는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