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인증’은 카카오톡으로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이 전자서명하면 이를 카카오페이가 전자문서로 생성해 이용기관에 제공하는 서비스로, 카카오톡 이용자는 별도 앱 설치 없이 회원 등록 절차를 거친 후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카카오페이에 가입한 고객은 휴대폰 본인확인과 계좌 점유인증만 진행하면 된다.
이용 고객은 개인정보 수집동의, 신용정보 조회동의, 보험 청약, 대출 계약 등 전자서명이 요구되는 중요문서를 카카오톡 메시지로 확인하고,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서명을 완료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모바일 인증 서비스
‘카카오페이 인증’은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전자서명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보안성을 극대화 했고 안티미러링(Anti-Mirroring), 안티하이재킹 (Anti-Highjacking) 등 고도의 보안 장치도 추가 적용했다.
또한, 보안성은 물론 사용성의 극대화를 위해 생체인식 국제표준인 FIDO(Fast IDentitiy Online)를 적용한 지문인증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다.
카카오 계정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인증서라는 점에서 편의성도 높다. PC로 발급 후 모바일 기기로 복사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안드로이드 및 iOS 스마트폰에서 바로 발급 받아 PC와 모바일 웹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앱투앱 (App-to-App) 인증도 연내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신한생명, 한화손해보험, 대신증권 등 7기관 도입
‘카카오페이 인증’은 출시 후 순차적으로 신한생명, 한화손해보험, 대신증권, KT에스테이트, 라이나생명,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국경없는의사회 등 7개 기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대형 금융·정부·공공기관 위주로 올해 안에 이용 기관을 15개로 확대할 계획으로, 기업 및 공공기관 웹사이트 간편 로그인, 금융사 2채널 추가인증, 전화 상담시 비대면인증 등의 간편인증 서비스를 추가 제공해 '카카오페이 인증'을 빠르게 활성화한다는 전략이다.
◇이용 기관에 탁월한 비용 절감 효과 제공
‘카카오페이 인증’ 이용 기관은 고객 접점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고객 만족도 향상, 비용 절감 등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고객센터 녹취, ARS 등으로 진행하던 업무를 전자문서로 대체해 콜센터 응대시간과 관련 운영 비용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자서명 기능을 통한 수취증명으로 인쇄 및 우편발송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류영준닫기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